사라지는 제조인력…"외국인 받아야"
입력
수정
지면A6
한은 고용인력 변화 보고서국내 제조업 인력이 10년 후 24만 명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인구구조 변화로 청년층이 줄어드는 여파다. 제조업 인력 확충을 위해선 외국인 인구를 유입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층 감소로 10년뒤 24만명↓
女 취업 늘면 서비스업 고용 증대
한국은행이 9일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보고서에서 김혜진·정종우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자동차·전자기기·화학산업 등 고숙련 제조업 인력은 2022년 252만 명에서 2032년 248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식료품·의복·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 등 저숙련 제조업은 같은 기간 196만 명에서 176만 명으로 20만 명 감소한다. 제조업에서만 24만 명의 인력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는 제조업에 주로 종사하는 청장년층 수가 줄어드는 영향이다.
제조업 고용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선 외국인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현재 한국의 전체 인구 중 3.8%를 차지하는 외국인 비율이 2032년까지 주요 7개국(G7) 평균인 7.8%로 증가할 경우 제조업 인력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2만 명 많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서비스업은 대체로 인력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정보기술(IT)·금융·보건·교육 분야 등 고숙련 서비스업은 738만 명에서 772만 명으로, 도소매·음식 및 숙박업 등 저숙련 서비스업은 1177만 명에서 1217만 명으로 각각 4.6%, 3.4%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여성과 고령층이 고용시장으로 많이 유입되면서 이들이 주로 취업하는 서비스업 인력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향후 여성 고용률을 G7 수준으로 높일 경우 고숙련 서비스업 인력이 15만 명 늘고, 고령자 고용률을 일본 수준으로 높이면 저숙련 서비스업 인력이 70만 명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