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빙그레 공장은 '제2의 기아 소하리 공장'
입력
수정
지면A2
공장 지은 후 그린벨트 묶인 땅, 경기도에만 71곳경기 남양주시 다산신도시의 빙그레 도농공장은 아파트, 공원, 아울렛, 고등학교 등에 둘러싸여 있다.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는 동안 공장만 그린벨트로 남아서다. 광명 기아오토랜드와 마찬가지로 공장이 있는 지역은 1971년 뒤늦게 그린벨트로 묶인 뒤 52년째 유지되고 있다. ‘신도시 안 섬’ 같은 공장이 되면서 이전은커녕 확장도 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
52년째 규제 갇힌 빙그레 공장
확장도 이전도 못하는 상황
신·증설 허가 받기도 어렵지만
확장한다해도 부담금 어마어마
5% 이상 면적 늘린곳 44곳 뿐
14일 광명시 요청으로 경기도가 전수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설립 후 부지가 그린벨트로 지정된 공장 가운데 현재까지 운영 중인 곳은 경기도 내 71곳(4월 18일 기준)으로 파악됐다. 지방자치단체별로 보면 고양시에 이런 ‘그린벨트 속 공장’이 14곳으로 가장 많았다. 시흥시 11곳, 안산시 9곳, 화성시엔 7곳이 있었다. 광명시는 기아오토랜드 한 곳이었다.대부분은 광명 기아오토랜드, 남양주 빙그레 공장과 마찬가지로 공장 신·증설 등 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린벨트 속 공장으로 남은 71개사는 확장이 어려운 한계를 층수를 올리는 방식으로 해결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71개사의 그린벨트 지정 당시 면적과 현재 면적을 비교해 보니 5% 이상 건축 연면적을 늘린 회사는 44곳(62%)이었다. 그린벨트 지정 당시 건축 연면적이 5만2800㎡였다가 지금은 26만4358㎡로 다섯 배로 커진 광명 기아오토랜드나 1135㎡를 쓰다가 7063㎡로 여섯 배 확장한 의왕 대성미생물연구소도 있지만, 대부분은 20~40% 면적을 넓히는 수준에 머물렀다.
빙그레 공장의 연면적은 그린벨트 지정 시점의 4879㎡에서 현재 1만36㎡로 두 배 커졌다. 그동안 옆으로 늘릴 수 없는 문제를 공장 수직증축으로 풀어왔으나 최근엔 이마저 한계에 봉착했다.
식품업계에선 다산신도시 입주 이후 빙그레 남양주 공장은 ‘오도 가도 못하는 처지’가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빙그레가 수차례 공장 이전을 추진했지만 번번이 좌절된 것으로 안다”며 “그린벨트가 해제된 주변 지가에 비해 공장 부지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아 이전 비용을 마련하기 쉽지 않았다”고 전했다.나머지 27개 공장은 수십 년간 공장을 한 뼘도 늘리지 못한 채 버텼다. 산업 경쟁력이 떨어져 확장을 못한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는 각종 그린벨트 규제로 투자 엄두를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식 광명시 부시장은 “이들 기업이 규제받지 않고 확장적으로 사업을 펼쳤다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었고, 지자체 재정에도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특히 고양에 이런 곳이 많은데, 경기 북부지역의 균형발전 차원에서라도 불합리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5년 경기도의 같은 조사에 따르면 당시 그린벨트 내에 운영 중인 공장은 86곳이 있었다. 이후 8년간 15곳이 줄어들었다. 그린벨트 밖으로 이전하거나 폐업을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1971년 그린벨트 정책 마련 당시와 비교해 전국적으로 이런 공장이 얼마나 되는지 정부 차원의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이 같은 문제가 불거지면서 그린벨트 지정 이전 설립된 공장의 증축에 대해선 부담금을 절반으로 줄여주는 개발제한구역 특별법이 개정됐다. 다만 당시에도 부담금 자체를 없애거나 이미 설립된 공장 부지의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방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상은/김대훈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