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도시 부산] ② 2030년까지 온실가스 47%↓…도전적 목표

태양광 발전·탄소흡수 녹색공간 확대…시민 참여형 저탄소 실천
환경단체 "재생에너지 확대, 차량 감축 대중 교통정책 강화해야"

[※편집자 주 = 지구 온난화는 해수면 상승과 기상 이변 등을 야기하고 자연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화석연료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도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47%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는 탄소중립 도시로 전환을 추진하는 부산시의 정책과 기후산업, 해결과제 등을 다루는 기획 기사를 매일 1회, 모두 10편을 송고합니다. ]
부산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도전적으로 정했다.

16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의 탄소 총배출량은 2018년 기준으로 전국 탄소 총배출량 7억2천760만t의 3.7% 수준인 2천674만7천t이다. 시는 2030년 탄소 배출량을 1천417만6천t으로 47% 감축하고 2050년에는 무탄소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를 40% 감축하겠다고 한 것을 고려하면 부산시의 온실가스 감축 의지가 더 강하다.

시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지난해 4월 전국에서는 두 번째로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는 최근 회의를 열고 지난해 수립한 부산시 기후변화 대응계획에 대해 점검했다.

부산시 기후변화 대응계획은 에너지전환·산업·건물·수송·농축산·폐기물·흡수원 등으로 구분된다.
세부 실행 과제에는 태양광발전 시설 설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스마트공장 보급 환상, 산업단지 태양광 발전사업 확대,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LED 보급,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 등이 포함됐다.

승용차 요일제 추진, 자동차 탄소포인트제, 자전거 도로 구축, 친환경 어선 에너지 절감 장비 보급, 수소연료발전소 건설,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등도 친환경 저탄소 사업도 추진한다.

탄소 흡수원인 도시 숲, 해운대 수목원, 바다숲 등 녹색공간 조성도 확대한다.

시에 따르면 2022년 부산의 온실가스 감축량은 93만7천818t으로 목표(109만6천208t) 대비 86%에 그쳤다.

신재생에너지 보급량은 30.4㎿로 목표(23.1㎿)보다 130% 달성했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이행률은 489개사로 목표의 107%를 달성했다.
반면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 시내버스 수소 버스 교체사업, 수소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 등은 사업부 부족과 주민 수용성 부족 등의 이유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시는 '부산광역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조례'를 제정하고 부산연구원에 '부산시 탄소중립 지원센터'를 설치하는 등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탄소 흡수원인 녹색공간을 확산하고자 전국에서 처음으로 나무를 심으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공로를 인증하는 증서를 발급한다.

온실가스 감축에 기업과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나무 1그루당 이산화탄소 표준감축량을 0.01t, 나무 1그루의 가격은 15만원으로 정했다.
시는 2025년까지 100억원을 들여 도심 속 녹색공간인 도시바람길숲을 기존 20곳(25㏊)에서 4곳(사상구 사상역 문화숲, 부산진구 거제로 바람길숲, 남구 평화기원의 숲, 기장군 정관신도시 바람길숲)을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기업과 시민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사업도 확대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기금(HUG)과 파나시아 등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해운대수목원에 치유의 숲(탄소중립 숲)을 조성해달라며 2021년부터 31억원(2만666그루)을 기부했다.

지난해 아파트 1만1천100여 곳이 전기·상수도·가스 절감, 재활용품 분리수거, 음식물쓰레기 감량, 승용차 요일제 참여 등을 평가하는 '그린아파트 인증'에 참여해 총 3만4천1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태양광, 빗물 저금통 등을 설치한 마을 85곳이 '탄소중립 마을'로 인증받았다.
시는 탄소중립 문화 확산을 위해 음식쓰레기 줄이기,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 이용하기,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 사용하기, 냉방 온도 2도 높이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온실가스 1인 1t 줄이기 등 시민참여형 실천 과제를 만들어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 환경단체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47% 감축하겠다는 부산시의 도전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박상현 기후위기부산비상행동 사무국장은 "탄소 감축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를 확대해야 하는데 청사포와 다대포 해상풍력은 주민 수용성 문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송 분야의 경우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도 필요하지만,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을 감축하기 위해 대중교통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