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2.6% 전망…0.2%p 상향
입력
수정
금융불안·중국경제 상황 등 위험 요소…"말안장 위를 걷는 형국"
선진국 신용위축으로 회복 둔화 진단…신흥국 성장률도 하향 조정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소폭 상향했다. 전반적으로 느린 경기 회복 추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신용 긴축과 글로벌 정책 공조 약화, 중국 관련 리스크 등 곳곳에 불안 요소가 있다고 분석했다.
KIEP는 16일 발표한 '2023년 세계 경제 전망(업데이트)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는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를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경제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제시한 2.4%보다 0.2%포인트(p) 오른 수치다. KIEP는 전망치는 소폭 상향했지만, 여전히 성장 하방 압력이 상방 압력보다 높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성장률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는 금융 불안과 신용 긴축, 공급망 복원 다변화 노력에 따른 비용 증가, 우크라이나 전쟁의 불확실한 향방, 인플레이션 지속, 중국 경제의 세계 경제 기여도 축소 등을 꼽았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세계 경제가 상승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그 경로는 대단히 좁고 불안하다"며 "마치 말 안장 위를 걷는 것처럼 삐끗하면 옆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태로운 형국"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여력 감소로 경기 둔화 우려가 높고, 장기적인 문제점도 잠재한 상황"이라며 "정책 대응과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KIEP는 주요 선진국에서 여전히 높은 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신용 위축으로 인해 경제 회복이 매우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견고한 고용시장과 정점을 지난 물가상승률 등 긍정적 용인이 있지만, 신용 긴축과 높은 정책금리, 부진한 산업활동 등의 영향으로 연간 1.2% 성장할 것이라고 봤다. 유로 지역과 영국은 높은 근원물가와 은행들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대응으로 구매력 회복이 늦어지면서 각각 연간 0.8%, -0.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은 정부 지원책에 따라 물가가 안정되고, 임금 인상을 기반으로 소비 회복세가 나타나면서 연간 1.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신흥국들은 선진국 대비 높은 물가수준과 대외수요 둔화로 인해 성장률 전망이 전반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다만 중국은 경제활동 재개 및 정부 정책의 효과로 내수 중심의 경기 회복이 이뤄져 5.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 원장은 "중국 경제가 회복하고 있지만, 내수 중심 성장으로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각국 경제 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고 있다"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과거와 같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KIEP는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0%로 제시해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유로 지역과 영국, 인도와 동남아 지역에서 성장률 상승이 전망되지만, 미국과 중국 등이 올해 대비 하향 성장하면서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은 '상고하저'의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인플레이션 둔화와 금융 불안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전환 압력이 커지면서 달러화 강세가 점차 완화될 것으로 봤다. 안성배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불안 요소가 있지만, 아직 한국 자본시장에서 특별한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달러당 환율이 1천300원 선 위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하반기에는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선진국 신용위축으로 회복 둔화 진단…신흥국 성장률도 하향 조정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소폭 상향했다. 전반적으로 느린 경기 회복 추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신용 긴축과 글로벌 정책 공조 약화, 중국 관련 리스크 등 곳곳에 불안 요소가 있다고 분석했다.
KIEP는 16일 발표한 '2023년 세계 경제 전망(업데이트)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는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를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경제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제시한 2.4%보다 0.2%포인트(p) 오른 수치다. KIEP는 전망치는 소폭 상향했지만, 여전히 성장 하방 압력이 상방 압력보다 높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성장률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는 금융 불안과 신용 긴축, 공급망 복원 다변화 노력에 따른 비용 증가, 우크라이나 전쟁의 불확실한 향방, 인플레이션 지속, 중국 경제의 세계 경제 기여도 축소 등을 꼽았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세계 경제가 상승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그 경로는 대단히 좁고 불안하다"며 "마치 말 안장 위를 걷는 것처럼 삐끗하면 옆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태로운 형국"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여력 감소로 경기 둔화 우려가 높고, 장기적인 문제점도 잠재한 상황"이라며 "정책 대응과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KIEP는 주요 선진국에서 여전히 높은 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신용 위축으로 인해 경제 회복이 매우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견고한 고용시장과 정점을 지난 물가상승률 등 긍정적 용인이 있지만, 신용 긴축과 높은 정책금리, 부진한 산업활동 등의 영향으로 연간 1.2% 성장할 것이라고 봤다. 유로 지역과 영국은 높은 근원물가와 은행들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대응으로 구매력 회복이 늦어지면서 각각 연간 0.8%, -0.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은 정부 지원책에 따라 물가가 안정되고, 임금 인상을 기반으로 소비 회복세가 나타나면서 연간 1.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신흥국들은 선진국 대비 높은 물가수준과 대외수요 둔화로 인해 성장률 전망이 전반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다만 중국은 경제활동 재개 및 정부 정책의 효과로 내수 중심의 경기 회복이 이뤄져 5.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 원장은 "중국 경제가 회복하고 있지만, 내수 중심 성장으로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각국 경제 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고 있다"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과거와 같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KIEP는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0%로 제시해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유로 지역과 영국, 인도와 동남아 지역에서 성장률 상승이 전망되지만, 미국과 중국 등이 올해 대비 하향 성장하면서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은 '상고하저'의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인플레이션 둔화와 금융 불안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전환 압력이 커지면서 달러화 강세가 점차 완화될 것으로 봤다. 안성배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불안 요소가 있지만, 아직 한국 자본시장에서 특별한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달러당 환율이 1천300원 선 위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하반기에는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