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남해안 정어리 떼 유입 전망…창원시, 대책 마련 분주

7월부터 멸치 권현망에 혼획 시범 허용…정어리 폐사 가능성 줄일까
창원시 "살아 있는 정어리 최대한 포획…폐사 때엔 소각·퇴비화"
올해도 남해안 연안에 대규모 정어리 떼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지난해 정어리 떼죽음 사태를 겪은 경남 창원시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19일 창원시 등 설명을 종합하면 시는 지난해 9월 30일부터 한 달간 이어진 정어리 집단 폐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고심하고 있다.

지난해 집단 폐사 당시 마산만 일원에서 수거된 정어리떼는 총 226t으로, 1천500명에 가까운 인력과 50척이 넘는 선박 등이 동원돼 폐사체 사후 처리에 골머리를 겪은 바 있다.

인근 주민들은 폐사체가 썩는 과정에서 진동하는 악취 등으로 해안가 산책에도 지장을 받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한동안 불편을 겪어야만 했다. 창원시는 올해 역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정어리 출몰이 대폭 늘 것이라는 국립수산과학원 전망 등에 따라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일단 창원시는 멸치 기선권현망(2척의 동력어선으로 끌그물을 사용해 멸치를 잡는 어업) 조업 과정에서 정어리 등 다른 어종도 혼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이 올해 정어리떼 집단폐사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해양수산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1년간 시행하기로 결정한 해당 시범사업은 기선권현망이 그물을 끄는 어업 특성상 혼획 가능성이 크다는 어업 당사자들과 연구자들의 의견 등을 고려해 도입이 결정됐다. 지난해 정어리떼 폐사 사태를 겪은 창원지역의 어업인 일부와 학계 일각에서는 멸치 선단에 잡힌 정어리떼를 혼획 금지 규정상 해양에 방류하는 과정에서 폐사가 발생한 것 아니냐며 혼획을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했다.

다만, 국립수산과학원은 정어리떼 폐사 원인이 혼획 금지 규정과는 상관없는 산소 부족(빈산소수괴)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창원시는 해수부의 해당 시범사업으로 살아있는 상태에서 정어리를 포획하게 되면 그만큼 폐사 가능성을 줄여 해양환경 오염 가능성 등을 예방하고 어업인 소득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폐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즉시 모니터링 등을 통해 수거한 뒤 창원시 자원회수시설을 활용해 소각 처리하거나 퇴비화할 예정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올해는 폐사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살아 있는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하고자 한다"며 "포획한 정어리는 건제품과 급속 냉동 등으로 처리하고, 폐사체의 경우 수거해서 소각 또는 퇴비화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