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도시 부산] ⑥ 2030년 가덕신공항-북항 수소열차로 15분 도착
입력
수정
박람회 행사장 관광지 연결 버스·트램·도심 항공·보트 모두 친환경
2025년 수소 버스 1천대 도입…수소충전소 건립 주민 갈등 해결 과제
[※편집자 주 = 지구 온난화는 해수면 상승과 기상 이변 등을 야기하고 자연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화석연료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도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47%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는 탄소중립 도시로 전환을 추진하는 부산시의 정책과 기후산업, 해결과제 등을 다루는 기획 기사를 매일 1회, 모두 10편을 송고합니다. ] 2030년 5월 부산 가덕도신공항.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일정에 맞춰 2029년 12월 조기 개항한 가덕도신공항 계류장에는 유럽과 미주발 비행기가 속속 도착한다.
비행기에서 내린 여행객들은 '부산형급행철도'(BuTX)를 타기 위해 지하 40m로 내려간다. BuTX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친환경 열차다.
시속 180㎞ 속력으로 달려 15분 만에 부산항 북항 정류장에 도착한다.
부산세계박람회 행사장으로 이동하는 셔틀버스도 수소연료전지로 움직이는 수소 버스다. 버스 옆으로 박람회장 곳곳을 운행하는 트램도 수소를 사용한다.
하늘에는 전기 배터리와 수소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이 공항과 박람회장을 오가며 관광객을 실어 나른다.
바다에는 전기 배터리를 장착한 보트가 박람회장과 주요 관광지를 연결한다. 2030년 부산에서 세계박람회가 개최된다는 전제로 부산시가 탄소중립을 위해 도입하는 친환경 모빌리티의 미래를 상상하며 그려본 모습이다.
20일 부산시에 따르면 수소 전동차인 BuTX는 가덕도 신공항에서 강서구 명지동, 사하구 하단동,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예정지인 부산항 북항(부산역), 해운대구 센텀시티를 거쳐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이르는 47.9㎞ 구간에 초고속 교통 인프라를 갖추는 사업이다.
수소 전동차는 지하 40m 이상 대심도 터널을 최고속도 시속 198㎞, 주행속도 시속 180㎞로 운행하게 된다.
가덕도 신공항에서 부산항 북항까지 15분,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는 26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총사업비는 2조5천860억원으로 추산됐다.
부산시는 BuTX 사업화 전략 수립 용역에 착수해 6개 정거장을 복합 개발하는 방안과 재정 부담을 완화하는 최적의 사업화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와 협의해 2030부산엑스포 개최 시점에 맞춰 BuTX를 개통할 수 있도록 행정절차를 진행한다. 시는 탄소중립을 위해 친환경 모빌리티인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을 확대한다.
지난 4월 30일 기준으로 부산에 등록된 전기차는 2만6천191대(승용차 2만631대, 버스 424대)이고, 수소차는 1천980대(승용차 1천944대, 버스 36대)로 집계됐다.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 대형 버스와 화물차가 효율적이다.
부산시는 환경부, 현대자동차와 협력해 2025년까지 수소 버스를 1천대로 늘린다.
SK E&S, 부산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항만공사, 부산테크노파크 등도 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해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현재 부산지역 수소충전소는 사상구, 강서구, 기장군 등 3곳에 불과해 다른 대도시에 비해 수소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시에 따르면 올해 해운대구, 기장군, 강서구, 영도구에 각각 수소충전소가 완공되고 내년에도 동부산권 3곳과 서부산권 1곳이 추가로 건립될 예정이다.
시는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10곳을 추가로 도입한다는 계획이지만, 수소 충전소를 반대하는 민원이 곳곳에서 발생해 예정대로 건립될지는 미지수다.
부산시 관계자는 "수소 충전소 설치를 위한 주민 설득하는 작업이 만만치 않다"며 "부지 선정 단계에서 주민 설명회를 하고 편의시설이 포함된 복합수소충전소를 구축해 주민 수용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재용 한국수소산업협회 총괄본부장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소경제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친환경 인프라 구축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같이 우리 정부도 적극적인 자금 지원과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 주민 갈등 해소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25년 수소 버스 1천대 도입…수소충전소 건립 주민 갈등 해결 과제
[※편집자 주 = 지구 온난화는 해수면 상승과 기상 이변 등을 야기하고 자연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화석연료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도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47%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는 탄소중립 도시로 전환을 추진하는 부산시의 정책과 기후산업, 해결과제 등을 다루는 기획 기사를 매일 1회, 모두 10편을 송고합니다. ] 2030년 5월 부산 가덕도신공항.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일정에 맞춰 2029년 12월 조기 개항한 가덕도신공항 계류장에는 유럽과 미주발 비행기가 속속 도착한다.
비행기에서 내린 여행객들은 '부산형급행철도'(BuTX)를 타기 위해 지하 40m로 내려간다. BuTX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친환경 열차다.
시속 180㎞ 속력으로 달려 15분 만에 부산항 북항 정류장에 도착한다.
부산세계박람회 행사장으로 이동하는 셔틀버스도 수소연료전지로 움직이는 수소 버스다. 버스 옆으로 박람회장 곳곳을 운행하는 트램도 수소를 사용한다.
하늘에는 전기 배터리와 수소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이 공항과 박람회장을 오가며 관광객을 실어 나른다.
바다에는 전기 배터리를 장착한 보트가 박람회장과 주요 관광지를 연결한다. 2030년 부산에서 세계박람회가 개최된다는 전제로 부산시가 탄소중립을 위해 도입하는 친환경 모빌리티의 미래를 상상하며 그려본 모습이다.
20일 부산시에 따르면 수소 전동차인 BuTX는 가덕도 신공항에서 강서구 명지동, 사하구 하단동,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예정지인 부산항 북항(부산역), 해운대구 센텀시티를 거쳐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이르는 47.9㎞ 구간에 초고속 교통 인프라를 갖추는 사업이다.
수소 전동차는 지하 40m 이상 대심도 터널을 최고속도 시속 198㎞, 주행속도 시속 180㎞로 운행하게 된다.
가덕도 신공항에서 부산항 북항까지 15분,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는 26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총사업비는 2조5천860억원으로 추산됐다.
부산시는 BuTX 사업화 전략 수립 용역에 착수해 6개 정거장을 복합 개발하는 방안과 재정 부담을 완화하는 최적의 사업화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와 협의해 2030부산엑스포 개최 시점에 맞춰 BuTX를 개통할 수 있도록 행정절차를 진행한다. 시는 탄소중립을 위해 친환경 모빌리티인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을 확대한다.
지난 4월 30일 기준으로 부산에 등록된 전기차는 2만6천191대(승용차 2만631대, 버스 424대)이고, 수소차는 1천980대(승용차 1천944대, 버스 36대)로 집계됐다.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 대형 버스와 화물차가 효율적이다.
부산시는 환경부, 현대자동차와 협력해 2025년까지 수소 버스를 1천대로 늘린다.
SK E&S, 부산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항만공사, 부산테크노파크 등도 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해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현재 부산지역 수소충전소는 사상구, 강서구, 기장군 등 3곳에 불과해 다른 대도시에 비해 수소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시에 따르면 올해 해운대구, 기장군, 강서구, 영도구에 각각 수소충전소가 완공되고 내년에도 동부산권 3곳과 서부산권 1곳이 추가로 건립될 예정이다.
시는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10곳을 추가로 도입한다는 계획이지만, 수소 충전소를 반대하는 민원이 곳곳에서 발생해 예정대로 건립될지는 미지수다.
부산시 관계자는 "수소 충전소 설치를 위한 주민 설득하는 작업이 만만치 않다"며 "부지 선정 단계에서 주민 설명회를 하고 편의시설이 포함된 복합수소충전소를 구축해 주민 수용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재용 한국수소산업협회 총괄본부장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소경제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친환경 인프라 구축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같이 우리 정부도 적극적인 자금 지원과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 주민 갈등 해소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