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시인' 김용택 "나무는 정면이 없잖아요, 모두가 정면" [책마을 사람들]

모두가 첫날처럼

김용택 지음
문학동네
104쪽│1만2000원
"나무는 경계가 없어서
자기에게 모든 것들을
받아들여 새로운 정부를 세운다" ('새들의 시')

'섬진강 시인'으로 알려진 김용택(74·사진) 시인이 최근 14번째 시집 <모두가 첫날처럼>으로 돌아왔다. 22일 그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나무는 '정면'이 없다,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든 곧 아름다운 정면이 된다"며 "오로지 '하나의 정답'만을 강요하는 현대 사회를 돌아보게 한다"고 설명했다. 1948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난 그는 1982년 연작시 <섬진강>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섬진강을 배경으로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속 삶의 모습을 절제된 언어로 노래하기 시작했다. 이후 '섬진강 시인'이란 수식어와 함께 한국 서정시를 대표하는 이름으로 자리매김했다. 지금도 고향 진메마을에서 집필을 이어가고 있다.
55편의 시를 담아 2년 만에 출간한 시집에서는 정치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곳곳에 불어넣었다.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자 오히려 세상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그는 "팬데믹 때 집에서 세계사·미술사·철학사 등 책을 두루 읽으며 세상을 바라보는 나름의 철학이 형성됐다"고 말했다.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은 수록작 '우리들의 꽃밭'에서 드러난다. 시에선 "그렇지 않아도 서로 거리가 먼 사람들이 사회적인 거리를 두고" 있다. 이어 화자는 "서로 안 보일 때까지" 거리가 멀어져서 "서로 무관하게 될까" 걱정한다. 이 모든 문제는 "자본의 간교한 습성"과 "제도"를 통해 심화한다. "지난 2년 동안 팬데믹이 우리 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심화시켰다. 잘 사는 사람, 권력을 많이 가진 사람과 경제적·정치적으로 소외당하는 사람 사이의 간극이 커졌다. 이러다가 양 끝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를 '무관하다'고 여길까 봐 두려워졌다."
어떻게 해야 할까. '새들의 시'에 그 해답이 숨어 있다. 시인은 현대 사회가 나무로부터 배울 점이 있다고 조언한다. 그는 "우리가 힘든 이유는 보수와 진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등 모든 갈등이 하나의 정답을 강요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나무처럼 정면이 다양해야 인간의 아름다움을 그 속에서 찾고 가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사회 속 시인의 역할에 대한 제언도 이어갔다. 수록작 '시인'에서 시인은 "나비의 바람"으로 "정치를 기술"한다. 김 시인은 "어떤 권력도 이용하지 않고 자기 바람으로 날아가는 나비의 모습을 관찰했다"며 "시도 마찬가지로 권력에 기대기보다 자기 바람을 일으켜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시인에게는 작시(作詩)의 과정 역시 인위적이지 않다. 7~8년 전부터 쓰기 시작한 '새들의 시'도 최근 들어 우연히 나무에 앉은 새를 바라보다가 제목을 완성했다고. "'어떤 시를 써야겠다' 생각하고 시를 쓰지 않는다. 시가 나에게 오는 것이지, 내가 시를 기다리지 않는다. 이듬해 봄 열매를 맺을 살구나무가 겨울을 나듯, 그 자리에서 묵묵히, 하지만 부단히 노력할 뿐이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