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바지 다다른 긴축 사이클…"채권시장에 1300조 몰린다"
입력
수정
올해 들어 132조원 유입 "수익률 치솟자 간만에 활기"
"매주 6500억원 유입…몇 년 내 1300조원으로 늘 것"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사이클이 막바지에 접어들자 높은 수익률을 향유하려는 투자자들이 ‘막차 투자’에 나선 모양새다.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글로벌 투자분석 및 데이터 제공업체인 모닝스타 자료를 인용해 작년 한 해 미국에서 액티브 전략을 통해 3320억달러(약 438조원)가 채권시장에서 빠져나갔다고 보도했다. 거듭된 금리 인상으로 채권 가격이 폭락한 결과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티로우 프라이스의 글로벌 다중 자산 전략 부문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세바스티안 페이지는 “2022년은 채권시장 대격변의 해였다”며 “어떤 측면에서 역대 최악의 해라고 해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시장의 흐름이 급격하게 뒤바뀌었다. 1~4월 채권형 펀드에 1000억달러(약 132조원)가 유입된 것이다.긴축 정책 종료를 계기로 채권값 상승을 기대한 개인‧기관 투자자들이 국채와 회사채를 대량 매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페이지 CIO는 “채권시장이 아주 오랜만에 활기를 띠고 있다”며 “(가격과는 반대로 움직이는) 채권 수익률이 이전보다 훨씬 높은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채권 수익률이 높아지면 비교적 낮은 수준의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고수익을 내고 싶어 하는 ‘위험 회피’ 성향의 개인 투자자들은 구미가 당길 수밖에 없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의 제니 존슨 최고경영자(CEO)는 “연금의 3분의 1만 채권에 투자해도 목표한 바를 이룰 수 있게 된 셈”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데 베팅하고 있다. 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자료에 따르면 자산운용사들은 올해 들어 2년물 국채에 대한 롱 포지션(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미리 매수하는 전략)을 대폭 확대했다. 존슨 CEO는 “금리 상황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 1차례 인상이 있은 후 연말까지 그 수준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