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사태 해제됐지만…전세계서 코로나로 4분에 1명 숨진다
입력
수정
블룸버그 "여전히 취약층엔 위험하나 글로벌 장기 대응 부재"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비상사태가 3년여 만에 공식적으로 해제됐으나 코로나19가 여전히 4분당 1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주요 사인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부분의 보통 사람에게는 덜 위협적이나 여전히 일부 취약층에는 대단히 위험한 바이러스인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핵심 문제로 남아 있다고 이 통신은 지적했다.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는 1천639명으로 전 주(2천706명)보다 39% 감소했다.
꾸준히 감소세에 있기는 하지만, 코로나19로 여전히 전 세계에서는 1시간에 10∼16명꼴로 목숨을 잃는 셈이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사망원인 중 코로나19가 심장질환과 암, 약물 과다복용을 포함한 비의도적 부상에 이어 네 번째 주요 사인이었다. 그러나 흡연, 교통사고 등 흔히 발생하는 다른 사망원인들을 방지하기 위한 관련법이 꾸준히 만들어지는 것과 달리,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예방 접종이나 실내 마스크 착용을 강제하는 등의 법제화가 추진되지 않는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달 초 코로나 비상사태를 해제하기 전에 이미 대다수 국가 정부가 봉쇄조치나 방역 지침을 완화했으며 막대한 비용을 쏟아부었던 팬데믹 초기와 같은 자원 투입도 더는 없다.
대중이 이를 더는 감내하지 않기 때문이다. 코로나19는 계속 진화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예방접종을 하거나 마스크를 쓰기를 기대할 수 없는 터라 고령자나 기저질환자들은 그저 운 좋게 아프지 않기를 바라는 상황에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지적했다.
이 통신은 코로나19로부터 취약층을 보호하는 전 세계적인 장기 계획이 부재한 것은 팬데믹이 한창인 동안에도 코로나19와 관련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백신을 일찌감치 확보한 선진국에서도 수많은 사람이 접종을 거부했던 것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접종 부족으로 미국인 30만명이 더 목숨을 잃었다.
국제정치 역시 글로벌 대응과 조정에 걸림돌이 됐다.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의 바이러스 실험실이나 농축수산 시장에서 시작됐을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중국은 독립 전문가들이 시장에 자유롭게 출입하는 것을 막았으며 이에 따른 외교적 갈등과 불신이 많다. 세계에서 위기감이 줄면서 한때 치솟았던 백신과 치료제에 대한 투자도 잦아들었다.
모더나와 화이자 등 선두 업체들이 백신 업데이트 노력을 포기하지는 않았지만, 초기에 구상됐던 새로운 접근법 중 실패한 것들이 많다.
블룸버그 통신은 적극적인 코로나19 대응이 사라진 데 따른 사회적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감염자의 10%가량이 겪는 장기 후유증(롱코비드)은 '포스트 코로나' 시기의 의료 체계에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지며, 경제적 비용도 상당하다.
미국에서 장기 후유증으로 인한 급여 손실은 2022년 말 기준으로 연간 500억 달러(약 6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고, 영국에서는 지난해 장기 후유증을 앓는 환자 10명 중 1명꼴로 업무를 중단해야 한다는 추산이 나온 바 있다.
다만, 세계가 백신과 더 나은 치료법을 가지고 있다는 부분은 긍정적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꼽았다.
보건 전문가들은 여전히 예방접종이 최선의 보호 방법이라고 보고 있으며, 더 장기적으로는 백신이 개선되거나 코 스프레이 등 더 혁신적인 방식이 나올 수 있다는 희망도 있다.
전문가들은 전염병과 관련해 위험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감시체계에 더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싱가포르 듀크NUS의대의 바이러스학자이며 신종감염병 연구 책임자인 왕린파는 "각국 정부들이 피로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바이러스가 여전히 진화하고 있다는 현실을 직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대부분의 보통 사람에게는 덜 위협적이나 여전히 일부 취약층에는 대단히 위험한 바이러스인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핵심 문제로 남아 있다고 이 통신은 지적했다.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는 1천639명으로 전 주(2천706명)보다 39% 감소했다.
꾸준히 감소세에 있기는 하지만, 코로나19로 여전히 전 세계에서는 1시간에 10∼16명꼴로 목숨을 잃는 셈이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사망원인 중 코로나19가 심장질환과 암, 약물 과다복용을 포함한 비의도적 부상에 이어 네 번째 주요 사인이었다. 그러나 흡연, 교통사고 등 흔히 발생하는 다른 사망원인들을 방지하기 위한 관련법이 꾸준히 만들어지는 것과 달리,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예방 접종이나 실내 마스크 착용을 강제하는 등의 법제화가 추진되지 않는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달 초 코로나 비상사태를 해제하기 전에 이미 대다수 국가 정부가 봉쇄조치나 방역 지침을 완화했으며 막대한 비용을 쏟아부었던 팬데믹 초기와 같은 자원 투입도 더는 없다.
대중이 이를 더는 감내하지 않기 때문이다. 코로나19는 계속 진화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예방접종을 하거나 마스크를 쓰기를 기대할 수 없는 터라 고령자나 기저질환자들은 그저 운 좋게 아프지 않기를 바라는 상황에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지적했다.
이 통신은 코로나19로부터 취약층을 보호하는 전 세계적인 장기 계획이 부재한 것은 팬데믹이 한창인 동안에도 코로나19와 관련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백신을 일찌감치 확보한 선진국에서도 수많은 사람이 접종을 거부했던 것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접종 부족으로 미국인 30만명이 더 목숨을 잃었다.
국제정치 역시 글로벌 대응과 조정에 걸림돌이 됐다.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의 바이러스 실험실이나 농축수산 시장에서 시작됐을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중국은 독립 전문가들이 시장에 자유롭게 출입하는 것을 막았으며 이에 따른 외교적 갈등과 불신이 많다. 세계에서 위기감이 줄면서 한때 치솟았던 백신과 치료제에 대한 투자도 잦아들었다.
모더나와 화이자 등 선두 업체들이 백신 업데이트 노력을 포기하지는 않았지만, 초기에 구상됐던 새로운 접근법 중 실패한 것들이 많다.
블룸버그 통신은 적극적인 코로나19 대응이 사라진 데 따른 사회적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감염자의 10%가량이 겪는 장기 후유증(롱코비드)은 '포스트 코로나' 시기의 의료 체계에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지며, 경제적 비용도 상당하다.
미국에서 장기 후유증으로 인한 급여 손실은 2022년 말 기준으로 연간 500억 달러(약 6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고, 영국에서는 지난해 장기 후유증을 앓는 환자 10명 중 1명꼴로 업무를 중단해야 한다는 추산이 나온 바 있다.
다만, 세계가 백신과 더 나은 치료법을 가지고 있다는 부분은 긍정적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꼽았다.
보건 전문가들은 여전히 예방접종이 최선의 보호 방법이라고 보고 있으며, 더 장기적으로는 백신이 개선되거나 코 스프레이 등 더 혁신적인 방식이 나올 수 있다는 희망도 있다.
전문가들은 전염병과 관련해 위험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감시체계에 더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싱가포르 듀크NUS의대의 바이러스학자이며 신종감염병 연구 책임자인 왕린파는 "각국 정부들이 피로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바이러스가 여전히 진화하고 있다는 현실을 직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