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만명 '경기도, 2067년 이후 화성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이 소멸 고위험 지역'-경기연구원 지적
입력
수정
-지역 활력 지수 운영, 행복담당관 설치 등 대응 필요경기연구원은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보고서 발간을 통해 2067년 31개 시군 중 화성을 제외한 30개 시군이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전망하고 적극적인 대응 필요성을 제기했다.경기연구원 제공
-경기연구원,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보고서를 발간
-2067년 화성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을 소멸 고위험 지역
인구 1400만명을 돌파해 전국 최대 지자체인 경기도마저 2067년 31개 시군 중 30곳이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전망돼 인구 문제에서 안심할 수 없는 만큼 지역 활력 지수 운영, 행복담당관 설치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1223만 명에서 2022년 1358만 명으로 경기도 인구가 10년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하지만 통계청이 올해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에서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는(사망자 7만 8990명, 출생아 7만 5277명) ‘데드크로스’ 현상이 발생하며 인구 문제가 우려된다는 자료를 냈다.
감사원이 국내 저출산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2021년 7월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 실태 감사보고서’에서는 2067년 화성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을 소멸 고위험 지역(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다섯 배가 넘는 곳)으로 분류했다.
현재 도내 소멸위험 지역(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두 배가 넘는 곳)은 가평, 연천, 양평, 여주, 포천, 동두천 등 6곳이다.경기연구원은 이에 도가 시군의 소멸 위기 적극 방어를 위한 정책 대응 준비에 나설 것은 제안했다.
연구원이 정책 대응안으로 제시한 사안은 ▲청년의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경기청년 로컬크리에이터(지역의 특성에 혁신적 아이디어를 접목해 지역문제를 해결하거나 경제적 가치를 창출)’ 양성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 지원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이라는 단선적 접근에서 벗어나 사람의 활동으로 활력을 되찾기 위한 ‘생활인구(교육, 관광, 업무 등을 위해 특정 지역을 방문해 체류하는 사람)’ 정책적 접근 ▲사람의 활동에 기반한 ‘경기도 지역 활력 지수’를 통한 31개 시·군의 특성이 반영된 경기도 지역 균형 발전 유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행복담당관’을 설치하고 각종 행복 지원사업 개발 등이다.
한편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시군별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 고유 브랜드를 창출하고 정주 의식을 높이면서 지역 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행‧재정 지원을 실시해야 한다”라며 “소멸위험 지역 여부에 따른 31개 시군의 경쟁적 관계 등 부정적 요소를 해소하고, ‘지역 활력’의 관점에서 상호 발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