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한국이 금리 못 올릴 거라 생각하면 안 돼"
입력
수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이 절대로 금리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이창용 총재는 25일 "적어도 금통위원들이 상황을 보자고 한 것은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이창용 총재를 제외한 모든 위원이 이번 금리 인상기 최종금리 수준으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총재는 "(3.75%로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이유는 두 가지"라며 "소비자물가(상승률)가 둔화하고 있지만 근원물가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고 미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상을 중단할지 지속할지, 이것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더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 연내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소비자) 물가(상승률)가 확실하게 2%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현재 금리를 300bp(1bp=0.01%포인트) 이상 올린 상태에서 물가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달러 환율과 관련해서는 "금리 격차가 환율을 결정한다는 프레임에서 벗어나달라"면서 "(한미 금리 격차가) 1.75%포인트로 벌어지면 절하 우려가 많다는데, 경험적으로 이자율 격차가 커졌음에도 미 중앙은행이 (금리를 추가로)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를 주면서 몇 주간 환율이 내렸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경기도 잠재성장률 아래이고 이자가 300bp 올라서 높은 수준이니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시 과열되거나 불안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올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낮춘 것은 당초 예상보다 정보기술(IT) 경기와 중국 경제 회복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IT 요인 등을 제외하면 우리 경제 성장이 1.8%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 들어 성장률이 오르는 '상저하고' 패턴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이창용 총재는 25일 "적어도 금통위원들이 상황을 보자고 한 것은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이창용 총재를 제외한 모든 위원이 이번 금리 인상기 최종금리 수준으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총재는 "(3.75%로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이유는 두 가지"라며 "소비자물가(상승률)가 둔화하고 있지만 근원물가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고 미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상을 중단할지 지속할지, 이것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더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 연내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소비자) 물가(상승률)가 확실하게 2%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현재 금리를 300bp(1bp=0.01%포인트) 이상 올린 상태에서 물가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달러 환율과 관련해서는 "금리 격차가 환율을 결정한다는 프레임에서 벗어나달라"면서 "(한미 금리 격차가) 1.75%포인트로 벌어지면 절하 우려가 많다는데, 경험적으로 이자율 격차가 커졌음에도 미 중앙은행이 (금리를 추가로)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를 주면서 몇 주간 환율이 내렸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경기도 잠재성장률 아래이고 이자가 300bp 올라서 높은 수준이니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시 과열되거나 불안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올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낮춘 것은 당초 예상보다 정보기술(IT) 경기와 중국 경제 회복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IT 요인 등을 제외하면 우리 경제 성장이 1.8%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 들어 성장률이 오르는 '상저하고' 패턴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