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전력 직접 거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도전
입력
수정
관련 특별법 국회 통과로 1년 뒤 특화지역 지정 예정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생산자가 수요자에게 직접 전력을 공급, 거래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국회 통과에 따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도록 역량을 모을 방침이라고 26일 밝혔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은 전날 국회에서 가결됐다.
이 특별법에 따라 1년 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대한 지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 되면 전력 거래 특례가 적용돼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자와 소비자가 한국전력과 독립적으로 직접 전력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한전이 화석연료 발전을 기반으로 전력망을 운영하면서 전력 거래를 하고 있다.
제주도는 다음 달 20일 열리는 제1회 글로벌 분산에너지 포럼을 통해 에너지 관련 기업들과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특화지역 지정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를 열어 제주분산에너지 신산업 발굴과 육성 방안, 제도 개선 방안 등을 수립할 계획이다.
고윤성 미래성장과 과장은 "제주도는 섬이라는 점 때문에 다른 지역(육지부)과 전력 계통이 분리돼 있고 그린수소 생산체계 등 다양한 전력 거래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같은 점들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강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에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전체 에너지 생산 설비의 50%가량을 차지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율은 도내 전체 발전량의 19.2%로, 국가가 2030년까지 달성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율 21.6%에 근접했다.
그러나 전력 공급량이 넘칠 때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강제로 멈추는 출력 제어를 시행중이다.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해 안정적 운영이 어렵고 초과 공급된 전기를 전력망에 그대로 흘려보내면 과부하가 발생, 심하면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횟수는 2021∼2022년 2년간 풍력발전 168회, 태양광발전 29회다. 올해 들어서도 4월까지 풍력발전 60여회, 태양광발전 30여회 가량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연합뉴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생산자가 수요자에게 직접 전력을 공급, 거래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국회 통과에 따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도록 역량을 모을 방침이라고 26일 밝혔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은 전날 국회에서 가결됐다.
이 특별법에 따라 1년 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대한 지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 되면 전력 거래 특례가 적용돼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자와 소비자가 한국전력과 독립적으로 직접 전력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한전이 화석연료 발전을 기반으로 전력망을 운영하면서 전력 거래를 하고 있다.
제주도는 다음 달 20일 열리는 제1회 글로벌 분산에너지 포럼을 통해 에너지 관련 기업들과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특화지역 지정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를 열어 제주분산에너지 신산업 발굴과 육성 방안, 제도 개선 방안 등을 수립할 계획이다.
고윤성 미래성장과 과장은 "제주도는 섬이라는 점 때문에 다른 지역(육지부)과 전력 계통이 분리돼 있고 그린수소 생산체계 등 다양한 전력 거래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같은 점들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강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에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전체 에너지 생산 설비의 50%가량을 차지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율은 도내 전체 발전량의 19.2%로, 국가가 2030년까지 달성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율 21.6%에 근접했다.
그러나 전력 공급량이 넘칠 때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강제로 멈추는 출력 제어를 시행중이다.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해 안정적 운영이 어렵고 초과 공급된 전기를 전력망에 그대로 흘려보내면 과부하가 발생, 심하면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횟수는 2021∼2022년 2년간 풍력발전 168회, 태양광발전 29회다. 올해 들어서도 4월까지 풍력발전 60여회, 태양광발전 30여회 가량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