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도 안 몰렸다…'청년펀드' 무용론
입력
수정
지면A15
청년층 자산형성 돕는 상품 외면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나온 정책금융상품인 ‘청년층 소득공제 장기펀드’(청년 소장펀드)가 흥행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주식형 투자 상품인 데다 의무 납입 기간 3년을 지켜야 하는 등 가입 조건도 까다로운 편이어서다.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하지 않은 낮은 소득 기준도 청년 가입자를 끌어모으지 못한 이유로 꼽힌다.
5대銀 설정액 9억5845만원
가입액 1억 넘는 펀드 3개뿐
원금 손실 가능성에 흥행 저조
가입 조건도 까다로워 불만 속출
상위 5개 펀드 수익률 1% 미만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이 취급한 청년 소장펀드 가입액은 총 9억5845만원(2719계좌)에 불과했다. 상위 5개 펀드 설정액도 12억4000만원에 그쳤다.설정액 1억원을 넘긴 펀드는 세 개뿐이었다. ‘KB 지속가능 배당50증권’ 설정액이 7억72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 한미 대표성장증권’ 2억1800만원, ‘KB 한국 인덱스증권’ 1억5000만원 순이었다. 99개 청년펀드 중 설정액이 1000만원을 넘는 펀드 수도 40% 수준에 머물렀다.청년펀드는 연 급여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액 38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이 납입금의 40%(최대 240만원)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정책금융상품이다. 지난 3월 출시돼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판매된다. 납입 한도는 연간 최대 600만원으로 가입 기간은 3~5년이다. 5년간 최대 납입액인 600만원씩 총 3000만원을 납입하면 1200만원을 공제받는 구조다. 세율 16.5%를 적용하면 연말정산 때 198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청년펀드의 흥행이 저조한 배경으로는 원금 손실 가능성과 납입 기간이 꼽힌다. 대부분 상품이 중소형 성장주 등을 절반 가까이 담고 있어 위험도가 높아 연말정산 환급을 통한 이익보다 주가 하락에 따른 손실액이 더 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소 유지 기간인 3년을 채우지 못하고 상품을 해지하면 납입금의 6.6%를 수수료로 내야 한다. 사회초년생 가입자 특성상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펀드에 장기간 투자금을 납입하는 게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온다.낮은 수익률도 상품 매력도를 떨어뜨렸다. 설정액 상위 5개 펀드의 1개월 수익률은 1% 미만(0.002~0.895%)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말까지만 가입할 수 있어 이후에는 소득공제 혜택을 유지하며 다른 펀드로 갈아타는 것도 불가능하다.
소득 기준도 ‘제자리걸음’
10년 전 수준에 멈춘 소득 조건 탓에 수요자가 적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번에 나온 청년펀드는 2014년 박근혜 정부 때 출시된 청년 소장펀드와 소득 기준이 같다.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할 때 가입 조건이 이전보다 한층 까다로워졌다는 원성이 나오는 이유다.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상품 특성상 안정적인 고소득을 올리는 청년층으로 가입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일각에선 청년펀드가 ‘자투리 펀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자투리 펀드는 설정·설립 이후 1년이 되는 날 원본 설정액이 5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소규모 펀드를 말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입 대상자 중 저축 여유가 있는 청년층 수요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펀드의 차별점도 없어 상당수 펀드가 소규모 펀드로 정리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하지만 청년펀드 가입 소득 기준 완화와 같은 조건 변경 가능성은 크지 않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출시한 상품으로 당장 소득 기준 등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면서도 “연말정산을 앞둔 올 하반기엔 가입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