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상황이면 어쩔뻔…네이버 "트래픽 10배 폭증으로 오류" [종합]
입력
수정
"내용없는 재난문자에 대피짐 소동"…네이버 앱 '마비'
네이버 "서버 폭증시 신속 대응 방안 검토중"

"내용없는 재난문자에 발동동"…네이버 앱 '마비'

특히 재난 문자에 어떤 이유로 대피하는지 등의 정보가 없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네이버 검색을 사용했는데, 접속이 되지 않아 불안감이 더욱 커졌다는 반응이 많다. 한 20대 이용자 역시 "아침에 재난문자 때문에 놀랐는데 네이버까지 접속이 되지 않아 진짜 전쟁이라도 난 줄 알았다"며 "어떤 상황인지 알 수 없어 너무 너무 무서웠다"고 털어놨다. 비상 상황으로 착각한 일부 누리꾼들은 대피를 위한 짐을 싸기도 했다.
네이버 모바일 버전에서 접속 장애가 발생한 것은 재난문자를 통해 경계경보 발령 소식을 알게된 이용자들이 한꺼번에 포털에 접속했기 때문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평소보다 트래픽이 10배 이상 폭증했다"며 "인지한 즉시 비상 모니터링에 돌입해 정상화했다"고 말했다. 네이버 PC 버전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네이버 "서버 폭증시 신속 대응 방안 검토중"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40조'에 따르면 각종 재난시 또는 경계경보 발령시 TV나 라디오에선 의무적으로 재난방송을 실시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최근 모바일 기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신속하게 정보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이 더 많이 쓰이기 때문에 포털 서비스 오류 발생시 혼란이 가중될 우려가 크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보유율은 93.4%에 달하며 스마트폰을 '일상생활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이 70%로 TV(27.5%)보다 월등히 높다. 국민적 혼란을 막고 유사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네이버와 카카오 등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유지 의무가 막중하다는 설명이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이버에 서비스 오류와 관련해 서비스 안정성 이행 현황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자료 제출을 요구한 상태다.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르면 부가통신사업자는 서비스 안정수단의 확보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연말연초, 월드컵 등 예측 가능황 상황에서는 대응이 가능하지만 오늘과 같이 짧은 시간에 서버 이용량이 폭증한 것은 이례적"이라며 "인지 즉시 비상 대응 체계 가동으로 정상화까지 5분이 걸렸지만, 현재는 웹 서버 자체에서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