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찬·조성진부터 김태한까지…멈추지 않는 '韓 클래식 천재들'
입력
수정
2000년대 세계 콩쿠르 휩쓰는 클래식 영재들
김선욱 손열음 조성진 임윤찬 등 피아노부터
임지영 양인모 최하영 등 현악기도 '한인천하'
바리톤 김태한(23)이 4일(현지시간) '세계 3대 콩쿠르' 가운데 하나인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해마다 굵직한 콩쿠르 낭보(朗報)가 날아드는 건 예삿일이다. 그러나 이번엔 조금 더 특별하다. 1988년 이 대회에 성악 부문이 신설된 이후 아시아 남성 성악가가 정상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이 본격적으로 ‘콩쿠르 강국’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들어서다. 2006년 피아니스트 김선욱이 만 18세 나이로 세계적 권위의 영국 리즈 콩쿠르에서 아시아 최초이자 최연소 우승을 차지한 것은 기념비적인 일이었다. 이후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2009년 밴 클라이번 콩쿠르와 2011년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각각 2위를 차지하면서 세간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2015년에는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쇼팽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2017년 피아니스트 선우예권은 밴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는데, 5년 뒤 임윤찬이 같은 대회에서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우면서 콩쿠르 연속 2연패를 달성했다. 한국인 음악가의 저력을 알린 사건이었다. 명문 피아노 경연대회로 꼽히는 부조니 콩쿠르에서도 한국인 피아니스트들의 실력은 빛을 발했다. 2015년 피아니스트 문지영이 우승자 자리에 오르더니 2021년에는 박재홍과 김도현이 나란히 1, 2위를 휩쓸면서 겹경사를 맞았다.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성악가들의 활약은 놀라울 정도다. 먼저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성악 부문에서는 2011년 소프라노 홍혜란이 우승을 거머쥔 데 이어 2014년 소프라노 황수미가 또 한 번 콩쿠르 정상에 오르는 진기록을 세웠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