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전문기업과 협업해 '맞춤형 챗GPT' 도입"
입력
수정
지난달 말 임직원 설명회에서 밝혀
국내 AI 기업과 협업 중
연내 '기본 서비스' 오픈
내년 2월께 전문 서비스 본격화
1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경 사장은 지난달 말 열린 DS부문 임직원 대상 강연에서 “생성형 AI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우리가 하는 일에 혁신이 이뤄질 수 있다”며 “‘국내 전문 기업’을 통한 맞춤형 AI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DS 부문은 오는 12월 기본 서비스를 오픈하고, 내년 2월에는 자체적으로 쌓은 반도체 빅데이터를 포함한 전문 검색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삼성전자 DS부문은 맞춤형 AI를 통해 구매·경비 등 업무 프로세스 자동 응답, 공정·설계·제조 등 전문지식 검색, 제조·공정 데이터 요약, 번역, 문서 작성, 회의록 녹취·요약, 시장·업체 분석, 코드 생성·리뷰, 고객 소리(VOC) 대응 등 총 9개 분야에서 임직원 업무를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DS 부문이 맞춤형 AI를 네이버와 공동 개발하는 것은 번역과 문서 요약 등의 업무에서 챗GPT 등 생성형 AI 수요가 많지만, 기밀 유출 등 보안 관련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챗GPT 등 외부 서버에 데이터가 남는 생성형 AI 사용을 제한하고, 회사에서 보안을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AI를 도입해 효율적인 업무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경 사장은 지난 9일 연세대 강연에서도 사내 챗GPT 사용과 관련해 “챗GPT는 최고의 지성”이라며 “지금 당장은 못 하는데 내년부터는 어떤 방식으로든 쓸 수 있게 하려 한다”고 말했다.
가전과 스마트폰 사업 등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경험(DX) 부문은 자체적으로 AI 도구를 개발해 임직원의 문서 요약,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