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30개 할 때 고작 5개…한국 신약 도입 더뎌
입력
수정
'빨리빨리'의 나라 한국이지만, 신약 도입에서만큼은 그렇지 않나 봅니다.우리나라가 OECD 국가들에 비해 신약을 현저히 적게 도입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수치를 환산하면, 일본에서 신약 32개를 도입할 때 국내는 5개만 도입하는 수준이라는데요.
자세한 내용 김수진 기자가 전합니다.
'한국은 신약 도입이 적고, 느리다'는 업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숫자가 나왔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72개 국가의 신약 도입과 관련한 보고서(글로벌 신약 접근 보고서, Global Access to New Medicines Report)입니다.신약이 출시된 지 1년 이내 국내에 나올 확률은 5%에 불과했습니다.
미국은 78%, 독일은 44% 수준. 일본도 32%나 됐습니다. OECD 국가 평균은 18%였습니다.
전 세계에서 개발되는 신약이 100개라고 가정하면, 일본은 32개라는 선택권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5개만 사용할 수 있는 셈입니다.1년이 지나도 수준은 크게 차이나지 않았습니다.
지난 10년(2012~2021년)간 글로벌에서 시판허가를 받은 신약은 460개.
이 중 한국에서 사용 가능한 약은 152개(33%)에 불과했지만 일본은 253개(51%), 미국은 391개(85%)로 훨씬 많았습니다.
출시가 된다 해도 기간이 약 46개월로, 선진국에 비해 오래 걸린다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국내에 들어오지 않는 신약을 애타게 기다리는 환자도 많습니다.
[김진아 /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국장 : 신약이 개발됐다는 소식은 들었는데…썼을 때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있다. 약이 개발됐다는건 그런 의미잖아요. 그런 상황이 외국에선 실현되고 있는데 우리는 언제 약이 도입이 되고, 허가가 될지 (문의가 많다).]
신약 도입이 늦은 이유에 대해 업계에서는 국내의 약가 제도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글로벌 제약사 관계자 : 한국을 논할 때 늘 약가 낮은 나라, 등재도 느린 나라. 등재해서도 약가가 또 깎이는 나라 이러니까…. ]
전문의약품 기준으로 살핀 국내 약가는 미국의 32.8% 수준.
우리나라는 신약 가격을 결정할 때 기준선 자체가 낮은 편이라, 상대적으로 고가인 글로벌 신약 입장에서는 국내 시장을 매력적으로 느끼기 어려운겁니다.
그러나 약가를 무작정 높이기에는, 약가의 일부를 부담하는 건강보험 재정에 한계가 생깁니다.
[서동철 / 의약품정책연구소장 : 국민들에게 받는 건강보험료로만 하려고 하니까 문제가 있습니다. 다른 나라같은 경우 (신약 도입에) 조세 쪽에서 지원해 주기도 하고, 정부에서 따로 암 쪽에 관련되는 펀드를 만들어서, 고가의 항암제나 휘귀질환 치료제는 지원해주는 제도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신약 도입과 관련해, 정부가 현재와 다른 다양한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수진입니다.
영상취재: 이창호, 영상편집: 김민영, CG: 김미주
김수진기자 sjpe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