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심장에 꽂힌 3t 숯덩이…세계가 깜짝 놀란 한국 미술
입력
수정
지면A19
뉴욕 록펠러센터 한국현대미술展
Origin, Emergence, Return
빌딩숲에 거대 조각 등장
자연순환 뜻하는 이배作
미술계 신선한 충격 던져
LED 입은 박서보 단색화
마이어슨·윤종숙 회화는
韓현대미술 흐름 보여줘
건물 안팎으로 인산인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2년, 록펠러센터를 소유한 글로벌 부동산운용사 티시만스파이어의 공동창립자이자 ‘메가 컬렉터’인 제리 스파이어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 진 마이어슨(51)에게 이런 제안을 했다. 2004년 스파이어에게 판매한 작품을 보수해주기 위해 마이어슨이 잠시 미국에 들렀던 때였다. 한국 입양아 출신인 마이어슨의 머릿속에 ‘한국 현대 미술의 본질을 보여줄 기회’란 생각이 스쳤다. 마이어슨은 스파이어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좋습니다!”요즘 뉴욕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한국 작가들의 전시 ‘기원, 출현, 귀환(Origin, Emergence, Return)’은 이렇게 시작했다. 마이어슨의 소속 갤러리인 조현화랑이 기획한 이 전시는 7월 26일까지 록펠러센터 내 링크레벨 갤러리와 야외 정원에서 열린다.
전시가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건 이배(67)가 록펠러센터 가운데에 설치한 높이 6.8m의 거대한 숯덩이 조각 때문. 하지만 그렇게만 바라보기엔 아깝다. 이 전시는 총 세 가지 파트로 이뤄져 있는 그룹전이다. 박서보(기원), 이배(출현), 마이어슨·윤종숙(귀환) 등 네 명의 예술가가 각 파트를 맡았다. 미국의 ‘심장부’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조명하는 전시를 자세히 뜯어봤다.
그의 작품은 동양미술의 정수이기도 하다. 마치 스님이 염불을 외듯 끊임없이 선을 긋는다. ‘붓을 떼는 순간 작품은 끝’이라는 서양미술의 방법론을 넘어, 박서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반복되는 순환정신을 작품에 담았다. 이번 전시에선 삼성 LED(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박서보의 묘법을 다양한 시각에서 볼 수 있다.
전시장 안에선 그가 평면에 담은 숯도 볼 수 있다. 절단한 숯 조각을 캔버스에 타일처럼 붙인 작품이다. 오묘하면서도 깊은 숯의 색깔을 통해 ‘심연의 빛’을 나타냈다. 숯가루가 섞인 먹물로 붓질을 한 ‘붓질(Brushstroke)’ 작품도 있다.
30년째 독일에서 활동하고 있는 윤종숙은 한국의 자연풍경과 독일의 표현주의를 합쳤다. 록펠러센터 내 사이먼앤드슈스터 빌딩 로비에서 회화 작품 3점을 선보였다. 작품을 보면 동양 전통의 수묵화와 독일 특유의 거친 표현주의가 동시에 느껴지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전시는 7월 26일까지 열린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