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규제 없이 최대 5억…특례보금자리론 써볼까
입력
수정
지면A17
내 집 마련 자금확보 방안올초 정부의 특례보금자리론 출시와 시중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 등으로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한 자금 확보가 쉬워지고 있다. 최근 은행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특례보금자리론보다 낮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대출 규모와 상환 계획 등을 따져 보고 선택해야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744703.1.jpg)
올초만 해도 특례보금자리론에 쏠리던 주택 구입 대출이 최근 시중은행으로도 분산되고 있다. 금리가 떨어지고 있어서다. 이달 초 기준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910~6.987% 수준으로, 금리 하단이 연 3%대에 진입했다. 하지만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는 지난 1월 30일 상품 출시 뒤 5개월째 연 4%대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5월 ‘금융시장 동향자료’에 따르면 국내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은 4조2000억원으로, 2021년 10월(5조2000억원) 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기타대출은 줄어든 반면 주택담보대출이 4조3000억원 증가한 탓이다.전문가들은 금리와 함께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상품의 장단점을 따져보고 접근할 것을 조언한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로 변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SR 규제 없이 5억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보유자금이 넉넉하지 않은 실수요자에게 내 집 마련의 선택지를 크게 넓혀준다는 평가다. DSR은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다.
특례보금자리론을 우선 실행한 뒤 금리 상황을 더 지켜보는 방법도 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어 별도 부담 없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