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 올해 6∼7월 2%대로↓…8월 다시 올라 연말 3%내외"(종합)

"근원물가, 상방위험 더 커…교통요금 인상·개소세 인하 종료 등 인플레 압력"
이창용 총재 "추 부총리 라면가격 언급은 고통 분담하라는 정치적 말씀"
"한·일 통화 스와프 추진, '경제관계 회복' 상징적 의미에서 중요"
한국은행은 19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 속에 2%대로 낮아지고, 당분간 근원물가(식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향후 물가 경로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공공요금 인상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근원물가의 경우 전망의 상방 리스크(위험)가 다소 크다"며 이런 진단을 내놨다.

앞서 지난달 한은은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근원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3.0%에서 3.3%로 올렸지만, 실제로는 이보다도 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최창호 한은 조사국장은 보고서 관련 설명회에서 "작년 상반기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 효과로 올해 6, 7월 2%대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며 "하지만 반대로 작년 8월 석유류 가격이 크게 하락한 만큼 올해 8월에는 반대로 기저효과가 나타나면서 상승률이 다시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은은 올해 연말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 "중반 이후 다시 높아져 등락하다가 연말께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3.5%)에 대한 조정 가능성은 언급하지 않았다.
올해 물가 흐름을 좌우할 요인 가운데 국제 유가의 경우, 하반기 이후 중국경제 회복과 계절적 수요 등으로 완만한 상승 압력을 받겠지만 주요국 경기 부진 지속, 통화긴축 강화 우려 등의 하방 위험도 잠재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국제 식량 가격 추이도 예단하기 어렵다.

곡물 가격이 지난해 2분기 고점보다 크게 낮아졌지만, 불안정한 설탕·육류 가격과 엘니뇨 등에 따른 이상 기후, 러시아·우크라이나 곡물수출협정 중단 가능성 등을 지켜봐야 한다.

수요 측면에서는 임금 오름세가 점차 둔화하겠지만, 대면 서비스 부문 개선 흐름이 여행객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강하고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이 근원물가로 떠넘겨질 경우 근원물가 상방 압력은 더 커질 수 있다.
하반기 대중교통 요금 인상,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 종료 등은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되거나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추가 인상될 경우에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한은이 물가 상황을 살펴 그 결과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작성한다.

해마다 6월과 12월 두 차례 발간되고 한은 총재 등이 직접 기자간담회를 통해 내용을 설명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설명회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라면 업계에 가격 인하를 권고한 데 대해 "어느 나라나 물가가 빠르게 오를 땐 생필품, 저소득층 관련 물가를 관리한다"며 "세계적으로 이번 물가 상승기에 기업 마진이 늘었는데, 기업들도 이제 원자재값 떨어졌으니 그에 맞춰서 고통을 분담해달라는 정치적 말씀으로 해석한다"고 밝혔다.

한·일 통화스와프 추진과 관련해서는 "(추 부총리가) 일본 재무성과 논의하는 것으로 말씀하셔서 기대하고 있다"며 "환율 안정성뿐 아니라 한·일 간 경제 교류와 기업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 같다.

일종의 '경제관계가 회복됐다'는 상징적 의미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최근 다시 증가하는 가계부채에 대한 질문에 "은행권 중심으로 부동산담보대출이 늘었는데, 이것만으로 가계대출이 앞으로도 확 늘어날 것이라거나 부동산이 살아날 것이라고 진단하는 것은 성급하다"며 "금방 가계대출이 늘거나 부동산 가격이 오를 상황은 아니고, 유의하면서 좀 더 지켜봐야 할 때"라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