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에 증강현실 입힌 화가 진 마이어슨 "AR은 내가 그림에 부여한 '출생기록'"

뉴욕 록펠러 '한국 현대미술전' 참여한 진 마이어슨 인터뷰

인천서 태어나 네 살 때 미국 입양
한국과의 끈 놓지 않으려 그림 그려

포토샵으로 이미지 왜곡한 후
캔버스에 옮기는 독특한 작업
첫 개인전 때 5m 대작 바로 팔려

이번 전시에선 회화와 AR 접목
"내겐 없는 출생기록을 그림에 부여"
전세계 '핫한' 전시는 모두 모이는 '예술의 도시' 미국 뉴욕. 그 중에서도 맨해튼 록펠러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현대미술 전시 '기원, 출현, 귀환'(Origin, Emergence, Return)은 요즘 뉴요커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데다 지난해 글로벌 아트페어(미술품 장터)인 '프리즈'가 서울에 진출하면서 한국 미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서다.

전시 참여 작가 리스트를 보면 박서보·이배 등 익숙한 이름 사이로 낯선 외국인 이름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진 마이어슨'이다. 인천에서 태어나 네 살 때 미국 미네소타주 가정에 입양된 한국계 미국 작가다. 뉴욕, 파리, 홍콩 등 세계 16개 도시를 돌아다니며 작품활동을 하다가 몇 년 전 한국인과 결혼하면서 서울에 정착했다.자연스럽게 이런 궁금증이 떠오른다. '한국보다 미국에서 지낸 기억이 더 많을텐데, 왜 한국 미술의 흐름을 되돌아보는 전시에 참여한 걸까?'

최근 서울 문래동 작업실에서 만난 마이어슨에게 묻자 명쾌한 답이 돌아왔다. "한국보다 일본에 더 오래 산 이우환도, 프랑스에서 30년간 살았던 이배도 모두 한국 작가이듯, 중요한 건 한국에 얼마나 있었느냐가 아니에요. 그보다는 그 안에 담긴 것이 중요하죠. 저는 그게 '한(恨)'이라고 생각해요."
그런 점에서 마이어슨은 자신도 '한국 예술가'라고 했다. 입양아로서 항상 지니고 살았던, '내가 누구인가'라는 고민과 한이 담겨있어서다. "애초 그림을 시작한 것도 한국과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서였어요. 미국에 입양되기 전 고아원에서 항상 그림을 그리곤 했거든요. 그림은 제가 한국을 기억하는 방법이었죠."어렸을 때부터 쭉 그림을 그렸지만, 본격적으로 예술가가 되는 길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그가 전업 작가생활을 시작한 1990년대 후반 뉴욕엔 아시안 예술가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게다가 회화 자체는 이미 '한물 간 것'처럼 여겨졌다. 그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뭔가 달라야 했다.

마이어슨이 찾아낸 답은 '포토샵'이었다. 지금은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이지만, 당시만 해도 포토샵은 전문가가 아니면 쓰기 어려운 도구였다. 그는 회화에 포토샵을 접목했다. 잡지에 나온 이미지나 사진을 포토샵으로 왜곡한 후 캔버스에 그렸다.
그의 독특한 아이디어는 단숨에 세계 미술계를 사로잡았다. 2004년 런던 프리즈에선 영국 사치갤러리의 설립자인 찰스 사치가 그의 작품을 싹쓸이했다. 같은 해 열린 첫 개인전에선 '슈퍼 컬렉터'이자, 록펠러센터를 소유한 글로벌 부동산운용사 티시만스파이어 공동창립자 제리 스파이어가 그의 5m 길이 대작을 구매했다. 이 때 맺어진 스파이어와의 인연은 이번 록펠러 한국 전시로 이어졌다.마이어슨은 이번 전시에선 한 발짝 더 나아갔다. 그림을 핸드폰으로 찍으면 그 속에 숨겨진 QR코드를 통해 붓의 레이어와 스케치를 증강현실(AR)로 볼 수 있다. 그가 오랜 시간에 걸쳐 한 겹 한 겹 올린 물감 층이 3차원의 공간에서 되살아난다.

그는 AR이 그림에게 부여한 '출생 기록(birth record)'이라고 했다. "저는 단 한 번도 출생기록을 가져본 적 없고, 가져볼 일도 없잖아요. 하지만 제 그림만큼은 어떻게 태어났는지 자세히 기록하고 싶었어요. 입양아로서의 오랜 고민이 저를 AR로 이끌었다고 할까요. 하하."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