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멧 안쓰고 불쑥…자전거 한해 5500건 '쾅'
입력
수정
지면A25
명의 주석중 교수 사망으로 본 자전거 교통사고 현실19일 오후 서울 여의도동 여의도환승센터. 빨간 우레탄이 깔린 폭 1.5m의 자전거도로를 점유한 채 택시 여러 대가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헬멧 없이 서울 공공 자전거 ‘따릉이’를 탄 한 회사원은 불법 주차 택시를 피해 곡예하듯 달렸다. 또 다른 자전거 이용자는 인도로 올라간 뒤 다시 교통섬으로 가다가 지나가던 차와 부딪칠 뻔한 아찔한 상황이 벌어졌다. 회사원 서모씨(31)는 “도심 자전거 이용자는 인도와 차도, 교통섬을 오가는 과정에서 사고 위험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공공자전거·킥보드 이용 늘며
차도·인도 오가며 아찔한 주행
작년 사망자 91명…30% 급증
자동차와 '측면충돌' 사고 빈번
골목→도로 진입 때 주의해야
전국 자전거 이용자 수가 13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자전거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 자전거 외에 전기자전거, 킥보드 등 새 교통수단까지 등장하면서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3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30% 늘어난 자전거 사망사고
이날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전거 사고 사망자 수는 91명으로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70명)보다 30% 늘어난 수치다. 경찰은 실제 사망자 수는 100명 이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에 신고가 안 된 채 처리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올 들어서도 4월까지 18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6일에는 ‘대동맥 수술 명의(名醫)’로 불리는 주석중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가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교통사고로 숨지는 사고가 벌어졌다. 우회전하던 트럭 운전기사가 자전거를 타고 교통섬 인근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주 교수를 보지 못하고 친 것으로 알려졌다.자전거 사망 사고 중 상당수는 주 교수 사례처럼 자동차와 자전거 간 충돌이다. 국가통계포털의 ‘사고유형별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에 따르면 2021년 발생한 자전거 관련 사고 5509건 중 자동차와 자전거 충돌이 3992건(72.6%)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하루평균 10건 이상이 일어나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측면충돌이 194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자전거가 골목에서 도로로 진입할 때 또는 횡단보도에서 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 유형이다. 사망자도 26명 발생했다.
킥보드·전기자전거 사고도 심각
기존에 없던 이동 수단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지만 시민 의식이나 법 체계가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자전거에 전동 모터를 장착한 전기자전거가 대표적이다. 최대 시속 25㎞까지 달릴 수 있다 보니 사고 발생 시 부상 정도가 심하다는 게 경찰 측 설명이다. 그러나 전기자전거 가운데 일부만 자전거 사고로 집계된다. 전기자전거라도 페달을 밟지 않고 손으로 레버를 돌려 모터를 작동하는 스로틀형은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로 분류돼 도로교통법을 적용받는다. 자전거 사고 통계에서 누락된다는 의미다. 반면 페달을 돌릴 때만 모터가 작동하는 파스(PAS·페달보조)형 전기자전거는 자전거법 대상이다.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공유 킥보드 사고도 급증하는 추세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킥보드 사고는 2386건 발생했으며 26명이 사망했다. 특히 19세 이하 청소년의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건수는 지난해 1096건을 기록했다. 2018년 25건의 약 44배로 늘었다. 경찰은 사고 건수의 90% 이상을 킥보드 사고로 보고 있다.전문가들은 차도와 인도에서 모두 환영받지 못하는 자전거를 위한 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한국자전거정책연합 상임이사)은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 외에 자전거를 위한 교통정책이 따로 필요하다”며 “킥보드 등 이동 수단이 매년 진화하는 만큼 신속한 법령 정비와 안전교육 확대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우섭/조철오/안정훈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