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첨단기술 경쟁 심화…'클라우드 컴퓨팅' 견제
입력
수정
미국과 중국의 첨단 기술 경쟁이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옮겨붙는 양상이다.
미국과 중국의 '디지털 냉전' 속에서 미국이 중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에 대한 견제에 나섰다고 뉴욕타임스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 문제에 정통한 복수 소식통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8개월간 알리바바, 화웨이 등 중국 빅테크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중국 기업이 미국에서 해당 서비스를 운영할 때 더 엄격한 규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이들 기업 성장세에 미국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등과 관련한 논의가 오갔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또 중국 측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자국 빅테크 기업과도 접촉했다고 한다.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기업과 단체 등이 전산 설비를 직접 구축하는 대신 전문 업체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정보기술(IT) 자원을 제공받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전력 회사가 전기를 판매하듯 다른 기업에 IT 자원을 판매하거나 대여해준다. 그동안 구글 클라우드, MS 아주르, 아마존 웹 서비스(AWS) 등 미국 빅테크들이 이 분야를 주도해왔다.
중국에서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화웨이 클라우드 등이 대표적인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로 꼽힌다.미 당국이 중국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겨냥하면서 미·중 간 기술 경쟁에 불이 붙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앞서 4월에는 공화당 상원의원 9명이 바이든 행정부에 서한을 보내 알리바바, 화웨이,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면서 이들을 규제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미 싱크탱크 '뉴아메리카' 소속 사이버 정책 연구원 샘 색스는 미 당국의 이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견제를 보면 인터넷 인프라에서 중국 영향력이 커지는 데 대해 바이든 행정부가 어떤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다고 짚었다.(사진=AP 연합)
한지희기자 jh198882@wowtv.co.kr
미국과 중국의 '디지털 냉전' 속에서 미국이 중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에 대한 견제에 나섰다고 뉴욕타임스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 문제에 정통한 복수 소식통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8개월간 알리바바, 화웨이 등 중국 빅테크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중국 기업이 미국에서 해당 서비스를 운영할 때 더 엄격한 규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이들 기업 성장세에 미국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등과 관련한 논의가 오갔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또 중국 측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자국 빅테크 기업과도 접촉했다고 한다.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기업과 단체 등이 전산 설비를 직접 구축하는 대신 전문 업체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정보기술(IT) 자원을 제공받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전력 회사가 전기를 판매하듯 다른 기업에 IT 자원을 판매하거나 대여해준다. 그동안 구글 클라우드, MS 아주르, 아마존 웹 서비스(AWS) 등 미국 빅테크들이 이 분야를 주도해왔다.
중국에서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화웨이 클라우드 등이 대표적인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로 꼽힌다.미 당국이 중국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겨냥하면서 미·중 간 기술 경쟁에 불이 붙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앞서 4월에는 공화당 상원의원 9명이 바이든 행정부에 서한을 보내 알리바바, 화웨이,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면서 이들을 규제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미 싱크탱크 '뉴아메리카' 소속 사이버 정책 연구원 샘 색스는 미 당국의 이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견제를 보면 인터넷 인프라에서 중국 영향력이 커지는 데 대해 바이든 행정부가 어떤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다고 짚었다.(사진=AP 연합)
한지희기자 jh198882@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