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해운동맹, 현금 쌓이자 '동상이몽'

스위스 MSC·덴마크 머스크
10년 만에 갈라서는 '2M'

팬데믹 3년간 역대급 수익 달성
추구하던 미래 전략 다르자 '균열'

MSC, 선박 늘리며 1위 선사 등극
머스크, 육상 물류사업 확장나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불가피 전망
세계 최대 해운사인 스위스 MSC와 2위 덴마크 머스크의 ‘해운 동맹’이 1년여 뒤면 해체된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에 따른 공급망 붕괴로 해운 운임이 치솟으면서 지난 3년간 거둔 막대한 수익을 토대로 각자도생하기 위해서다. MSC는 해운 역량 확대, 머스크는 해운 외 물류사업으로 다각화하는 전략을 택했는데 이 중 어느 곳이 승자가 되느냐에 따라 세계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두둑한 현금으로 각자도생

파이낸셜타임스(FT)는 “MSC와 머스크의 연합체인 ‘2M’의 해체는 세계 해운업 판도뿐 아니라 공급망 형태까지 바꿀 수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MSC와 머스크는 “2015년 시작한 동맹 체제를 2025년 1월부로 끝낸다”고 올해 초 발표했다.

해운 동맹은 특정 항로에 정기 취항하는 선사들의 카르텔이다. 서로의 선박을 매입, 교환 등의 방식으로 공유한다. 새 선박을 직접 투입하지 않아도 고객에게 더 많은 항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게 이점이다. 공동 물량 관리와 적재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양한 해운 동맹 중 최대 규모인 2M은 세계 컨테이너 운송량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며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행사했다.

그런데도 MSC와 머스크가 결별을 택한 것은 코로나19 호황기에 창출한 기록적인 수익 때문이다. 데이터 업체 제네타에 따르면 40피트 컨테이너 기준 단기 운임은 평균 2000달러 미만이었지만, 코로나19로 공급망이 붕괴했을 당시 9699달러까지 치솟았다. 머스크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302억달러로 골드만삭스, 메타 등을 능가했다. 해운 컨설팅기업 드루어리는 “해운사들이 2020~2022년 벌어들인 수익이 과거 60년간의 실적과 맞먹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누가 정답일까

MSC와 머스크는 서로 다른 미래 전략을 택했다. MSC는 신규 선박 122척을 발주하며 수송 선단을 확대하는 데 집중했다. 머스크는 육상 창고, 트럭, 비행기 등에 투자하며 물류사업 확장으로 눈을 돌렸다. FT는 “최근 MSC가 특유의 발 빠른 의사 결정을 토대로 머스크를 제치고 1위 선사로 등극한 것도 결별 이유”라고 전했다. 두 해운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153개국 중 머스크는 2019년 38개국에서 선복량(적재능력) 1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36개국에서 1위를 거머쥔 MSC에 밀려 2위(30개국)가 됐다. MSC가 2020년 그간 머스크에서 20년 넘게 일해온 소렌 토프트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머스크가 물류사업 확장을 택한 것은 이 같은 흐름을 뒤집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빈센트 클레르크 머스크 CEO는 “물류사업 확장은 대형 고객사에 종합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지난해 36억달러를 들여 홍콩 LF로지스틱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감독당국의 선박 배기가스 배출 규제가 더욱 엄격해지는 데다 미·중의 무역 갈등이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를 자극하고 있는 점 등은 이들 해운사엔 난관이다. 해운 컨설팅 회사인 베스푸치마리타임의 라스 옌센 CEO는 “세계 무역 활동이 둔화하고 있는 지금이 오히려 대형 해운사들로서는 막대한 보유 현금을 활용해 실험적인 투자에 나설 드문 기회”라며 “2M의 해체 이후 어느 해운사의 전략이 정답으로 판가름 날지 아직 불확실하다”고 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