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은 산불로 끝나지 않았다…태아 건강에 악영향 첫 확인"
입력
수정
성균관의대 연구팀, 2000년 동해안 산불 노출 태아 1천854명 분석 결과
태아 출생체중 평균 41g 적어…"태아 성장 느려지고 발달 지연 초래" 최근 국내에서 대형 산불이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산불 연기가 주변 지역 신생아의 출생체중을 감소시키는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산불 연기가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해치는 게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성균관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김종헌 교수 연구팀은 2000년 4월 강원도 고성과 동해, 삼척 등지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 재해에 노출된 임신부를 대상으로 태아의 출생체중 등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and Health) 최근호에 발표됐다. 동해안 산불 재해는 2000년 4월 7일부터 15일까지 총 9일간 지속됐고, 약 2만3천794㏊의 산림이 훼손됐을 정도로 피해가 컸다.
연구팀은 통계청 출생신고 자료를 기반으로 산불이 끝난 4월 15일 이후 출생한 신생아 1천854명의 출생체중을 분석했다.
태아의 산불 노출 시기는 임신 1분기(1∼16주) 774명(11.2%), 2분기(17∼28주) 527명(7.6%), 3분기(29주 이후) 553명(8.0%)이었다. 분석 결과 산불 연기에 노출된 임신부가 출산한 아이의 평균 체중은 산불 연기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지역의 임신부가 낳은 아이에 견줘 평균 41.4g(95% 신뢰구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기간별 산불 연기 노출에 따른 체중 감소량은 1분기 23.2g, 2분기 27.0g, 3분기 32.5g으로 각각 분석됐다.
연구팀은 산불 연기가 다른 인구 집단보다 임신부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태아의 횡격막 압박으로 인한 호흡수 증가를 부르고, 정상적인 산소 공급을 방해함으로써 태아 성장이 느려지고 발달 지연이 초래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산불이 임신부와 태아에 미치는 건강 위해성이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브라질의 한 연구에서는 임신 1분기와 3분기 동안 산불에 노출된 게 저체중아 출산과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국 콜로라도 지역에서 이뤄진 연구에서는 임신 첫 3개월 동안 산불 연기에 들어 있는 초미세먼지(PM 2.5) 등에 노출된 경우 신생아의 출생 시 체중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2007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실시한 건강 영향 연구에서는 산불 연기가 특히 이미 호흡기 문제가 있는 어린이와 노인에게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에서도 0~1세 영유아 등 어린 소아의 병원 방문 빈도가 노인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김종헌 교수는 "미세먼지 등의 산불 부산물이 폐포모세혈관세포와 상호작용해 산화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염증을 일으킨다"면서 "이런 염증 반응은 혈관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혈액 응고 경향을 증가시켜 태아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혈류가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산불의 건강 위해성이 이처럼 큰데도 국내에는 산불 연기 발생 시 건강 예방 요령 등 공중 보건 접근법에 대한 지침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환경부, 질병관리청, 산림청, 소방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해 산불의 건강 영향을 평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매뉴얼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태아 출생체중 평균 41g 적어…"태아 성장 느려지고 발달 지연 초래" 최근 국내에서 대형 산불이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산불 연기가 주변 지역 신생아의 출생체중을 감소시키는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산불 연기가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해치는 게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성균관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김종헌 교수 연구팀은 2000년 4월 강원도 고성과 동해, 삼척 등지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 재해에 노출된 임신부를 대상으로 태아의 출생체중 등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and Health) 최근호에 발표됐다. 동해안 산불 재해는 2000년 4월 7일부터 15일까지 총 9일간 지속됐고, 약 2만3천794㏊의 산림이 훼손됐을 정도로 피해가 컸다.
연구팀은 통계청 출생신고 자료를 기반으로 산불이 끝난 4월 15일 이후 출생한 신생아 1천854명의 출생체중을 분석했다.
태아의 산불 노출 시기는 임신 1분기(1∼16주) 774명(11.2%), 2분기(17∼28주) 527명(7.6%), 3분기(29주 이후) 553명(8.0%)이었다. 분석 결과 산불 연기에 노출된 임신부가 출산한 아이의 평균 체중은 산불 연기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지역의 임신부가 낳은 아이에 견줘 평균 41.4g(95% 신뢰구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기간별 산불 연기 노출에 따른 체중 감소량은 1분기 23.2g, 2분기 27.0g, 3분기 32.5g으로 각각 분석됐다.
연구팀은 산불 연기가 다른 인구 집단보다 임신부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태아의 횡격막 압박으로 인한 호흡수 증가를 부르고, 정상적인 산소 공급을 방해함으로써 태아 성장이 느려지고 발달 지연이 초래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산불이 임신부와 태아에 미치는 건강 위해성이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브라질의 한 연구에서는 임신 1분기와 3분기 동안 산불에 노출된 게 저체중아 출산과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국 콜로라도 지역에서 이뤄진 연구에서는 임신 첫 3개월 동안 산불 연기에 들어 있는 초미세먼지(PM 2.5) 등에 노출된 경우 신생아의 출생 시 체중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2007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실시한 건강 영향 연구에서는 산불 연기가 특히 이미 호흡기 문제가 있는 어린이와 노인에게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에서도 0~1세 영유아 등 어린 소아의 병원 방문 빈도가 노인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김종헌 교수는 "미세먼지 등의 산불 부산물이 폐포모세혈관세포와 상호작용해 산화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염증을 일으킨다"면서 "이런 염증 반응은 혈관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혈액 응고 경향을 증가시켜 태아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혈류가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산불의 건강 위해성이 이처럼 큰데도 국내에는 산불 연기 발생 시 건강 예방 요령 등 공중 보건 접근법에 대한 지침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환경부, 질병관리청, 산림청, 소방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해 산불의 건강 영향을 평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매뉴얼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