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 한 개도 남기지 않겠다"…삼다수의 '제주도 실험' [하수정의 티타임]
입력
수정
백경훈 신임 제주개발공사 사장 인터뷰연 2조원대에 달하는 생수시장의 가장 큰 화두는 페트병 재활용이다. 정부 지침에 따라 2030년까지 재생원료 사용비중을 30%까지 늘려야 하지만, 원료확보나 비용 등의 문제로 생수업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 1위 제주삼다수는 페트병을 100% 수거해 생수병으로 재탄생시키는 '플라스틱 제로 프로젝트'를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실험할 계획이다.
육지 출신 첫 사장…LH 기획통 4월 취임
국내 첫 100% 자원순환 추진
"2040년 제주도 '플라스틱 제로 섬' 만들것"
○페트병 전량 회수후 생수병 재활용...전국 첫 시도
백경훈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장은 2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주도내 투명페트병을 남기지 않고 전량 회수해 삼다수 병으로 다시 만드는 프로젝트를 제주도와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제주개발공사는 600억원을 투자해 새로운 자원순환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그동안 제주개발공사는 효성, 영원무역 등과 함께 삼다수 폐페트병을 의류나 포장재 소재로 활용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생수병을 재활용하는 것은 아직 시제품 생산 정도에 그치는 상황이다.백 사장은 "지난해 정부가 폐페트병을 식품 용기로 만드는 것을 허용한 만큼 본격적으로 투자에 나서 2026~2027년 상용화할 계획"이라며 "2040년엔 제주도를 '플라스틱 제로' 섬으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환경부는 '물리적 재활용'을 통해 폐페트병을 식품 용기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식품 용기 재생원료 기준’을 고시했다. '물리적 재활용' 페트는 회수, 파쇄, 세척 등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재생 원료 플레이크에 열을 가해 생산한 제품이다. 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순수 원료 상태로 되돌려진 원료로 페트를 제조하는 '화학적 재활용'보다 생산공정이 비교적 단순하다. 그동안 정부는 위생 우려 등을 이유로 물리적 재활용 페트를 식품 용기로 사용하는 것을 막아왔다. 하지만 화학적 페트 원료를 구하지 못해 해외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인데다 기술개발로 물리적 재활용 페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규제를 완화했다.
백 사장은 "제주도는 전국에서 폐페트병 수거율과 품질이 월등히 높은 지역"이라며 "서울이나 다른 대도시에선 페트병이 수거되더라도 오염물질이 많아 물리적 재활용을 실험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삼다수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제주도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재활용 생수병 보급이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사능 검사장비 추가 도입 검토"
백 사장은 삼다수의 시장점유율을 현재 42%에서 2026년 46%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는 "2025년 신공장(L6)이 준공되면 삼다수의 연간 생산량은 현재 100만에서 140만으로 늘어난다"며 "현 매출 3000억원대에서 L6 이후 4000억원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다.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일본 오염수 해양방류과 관련해선 "화산암반수인 삼다수는 일본 오염수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품질 점검을 위해 추가 검사장비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이후 1시간 간격으로 품질 검사를 해 오고 있으며 아직 단 한번도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백 사장은 제주개발공사의 감귤 사업 확장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다. 제주개발공사는 롯데칠성음료 등과 함께 제주 감귤을 수매해 농축액 형태로 가공해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귤부산물의 경우 자원순환기본법상 순환자원 품목에 등록되지 않아 사업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백 사장은 "감귤 농축액을 만들고 남은 찌꺼기를 처리하는 데도 많은 부담을 안게 된다"며 "왕겨나 커피박 등과 같이 감귤부산물도 자원순환 품목으로 인정해주면 펄프 등 친환경 제품을 다양하게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LH 기획통...주거사회통합서비스 도입 추진
지난 4월 취임한 백 사장은 공사 최초의 외지인(비 제주도) 출신 사장으로 화제가 됐다. 30여년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부동산개발, 주거복지 등 분야에 종사한 기획통이다. LH출신이 선임된 것은 제주개발공사의 주거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백 사장은 도내 공공주택 건설과 주거서비스 구축에 힘을 실을 방침이다.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2026년까지 공공주택 7000호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또 제주도 차원에서 상장사 20개를 유치해 젊은 인구를 유입시키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백 사장은 "공사가 공공주택 3800호 공급을 맡게 된다"며 "공공주택에 의료, 문화, 교육, 금융, 법률 등 서비스를 결합한 주거사회통합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