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경 세관 초소병 방역복 벗어…"국경개방 관련 중대신호"
입력
수정
훈춘-원정리·난핑-무산 이어 국경 개방 확대 가능성
중국과 접경 지역인 북한 함경북도 원정리의 통상 구역을 지키는 초소병이 이례적으로 방역복을 착용하지 않은 모습이 포착됐다. 이는 최근 나도는 북한의 대(對)중국 국경 개방·인적 왕래 재개 임박설과 관련해 중요한 변화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6일 중국 소셜미디어(SNS)에는 두만강 대교를 사이에 두고 중국 지린성 훈춘 통상구의 맞은편에 있는 북한 원정리 세관의 초소병이 방역복을 착용하지 않고 군복만 입은 채로 근무 중인 사진이 올라왔다.
이 초소병 뒤편의 원정리 세관 광장에 서 있는 세관 요원들로 추정되는 3∼4명도 방역복을 입지 않은 제복 차림으로 보인다. 이 사진 게시자는 "전날(25일) 찍은 사진"이라며 "원정리 세관에서 중대한 변화가 감지됐다"고 전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지난 3년간 원정리 세관의 초소병은 어떤 상황에서도 방역복을 벗은 적이 없었다"며 "(이들이) 방역복을 벗은 것은 원정리 통상구를 본격적으로 재개방할 시기가 임박했음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훈춘 통상구에서 두만강대교를 건너면 도착하는 원정리 세관은 중국 동북과 북한의 나진·선봉을 오가는 관문이다. 앞서 2020년 1월 북한은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자 국경을 전면 봉쇄하고, 인적 왕래를 중단했다.
이에 따라 북한 내 물자난이 심화하자 북한은 작년 1월 단둥∼신의주 간 화물열차 운행을 재개했다.
이어 올해 1월 중국의 국경 봉쇄 해제를 계기로 훈춘∼원정리 화물 트럭 운행을 재개했으며, 지난 20일에는 지린성 난핑과 함경북도 무산 간 도로도 개통했다. 그러나 이들 지역에서는 하루 수 대의 화물트럭만 제한적으로 운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대 교역거점인 단둥∼신의주를 비롯해 북중 접경지역의 다른 도시들에서는 여전히 국경 봉쇄가 풀리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과 접경 지역인 북한 함경북도 원정리의 통상 구역을 지키는 초소병이 이례적으로 방역복을 착용하지 않은 모습이 포착됐다. 이는 최근 나도는 북한의 대(對)중국 국경 개방·인적 왕래 재개 임박설과 관련해 중요한 변화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6일 중국 소셜미디어(SNS)에는 두만강 대교를 사이에 두고 중국 지린성 훈춘 통상구의 맞은편에 있는 북한 원정리 세관의 초소병이 방역복을 착용하지 않고 군복만 입은 채로 근무 중인 사진이 올라왔다.
이 초소병 뒤편의 원정리 세관 광장에 서 있는 세관 요원들로 추정되는 3∼4명도 방역복을 입지 않은 제복 차림으로 보인다. 이 사진 게시자는 "전날(25일) 찍은 사진"이라며 "원정리 세관에서 중대한 변화가 감지됐다"고 전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지난 3년간 원정리 세관의 초소병은 어떤 상황에서도 방역복을 벗은 적이 없었다"며 "(이들이) 방역복을 벗은 것은 원정리 통상구를 본격적으로 재개방할 시기가 임박했음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훈춘 통상구에서 두만강대교를 건너면 도착하는 원정리 세관은 중국 동북과 북한의 나진·선봉을 오가는 관문이다. 앞서 2020년 1월 북한은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자 국경을 전면 봉쇄하고, 인적 왕래를 중단했다.
이에 따라 북한 내 물자난이 심화하자 북한은 작년 1월 단둥∼신의주 간 화물열차 운행을 재개했다.
이어 올해 1월 중국의 국경 봉쇄 해제를 계기로 훈춘∼원정리 화물 트럭 운행을 재개했으며, 지난 20일에는 지린성 난핑과 함경북도 무산 간 도로도 개통했다. 그러나 이들 지역에서는 하루 수 대의 화물트럭만 제한적으로 운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대 교역거점인 단둥∼신의주를 비롯해 북중 접경지역의 다른 도시들에서는 여전히 국경 봉쇄가 풀리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