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 치지 말아 주세요
입력
수정
[arte] 이현식의 클래식 환자의 병상일지짜자자잔~. 끝음이 울려 퍼지고, 청중은 와아~하는 환호성과 함께 무대를 향해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클래식 음악회라고 하면 일반인들이 흔히 떠올리는 장면이다.
이런 상식적 이미지가 클래식 공연을 사랑하는 매니아들을 괴롭게 한다. 박수가 나오지 말아야 할 순간에 터져나오는 박수가 음악을 해치는 일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박수가 나오지 말아야 할 순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제일 중요한 원칙은, 음악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는 박수를 쳐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 명제를 두고 “왜 안돼?”하고 고개를 갸웃거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문제는, 어디까지가 음악이냐는 것이다. 쉽게 할 수 있는 답은 ‘소리가 이어지는 순간까지’일 것이다. 그런데, 악기의 소리는 문외한이 대충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길게 이어진다. 빠바바밤! 하고 큰 소리로 끝내는 곡의 경우, 그 마지막 음의 여운이 공기중에 퍼져나가면서 몇 초간 지속된다.
그 번짐과 여운도 음악이다. 그것까지 들은 뒤에 박수를 치기 시작하는 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음악이 클라이맥스를 향해 열심히 달려온 뒤끝이라면 청중의 흥분이 고조되어 있는 상태일 것이므로, 그런 때 끝음 직후 박수가 터지는 건 자연스러운 반응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소리가 점점 작아지면서 들릴 듯 말듯 하게 끝나는 곡들도 있다. 연주용 그랜드피아노의 건반을 땅~하고 눌러보면, 소리가 점차 작아져 다 사그라진 것 같은데도 미세한 진동이 계속 이어지는 걸 느낄 수 있다. 마침내 건반에서 손을 떼면 그제서야 ‘아 드디어 소리가 끝났구나’ 하는 느낌이 전해져 온다. 소리가 더이상 안들리는 것 같아도 박수를 섣불리 치면 안되는 이유다.
죽음을 상징하는 결말을 지닌 곡들도 있다. 바흐의 마태수난곡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혀 죽는 스토리다.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비창’이나 말러의 교향곡 9번 엔딩은 작곡가 자신의 죽음과 연관되어 있다. (다른 해석도 있다.)
이런 곡들의 경우, 소리가 완전히 끝난 뒤에도 지휘자나 연주자들이 한참동안 침묵을 이어간다. 악기에 올린 손이나 지휘하던 손을 내리지 않고 그대로 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끝낼 때에는 조명을 어둡게 낮추기도 한다. 침묵이 관객에게 주는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연출이다. 실제로 이런 침묵을 함께 하는 체험은 예술을 넘어 종교적이라고 할 만한 감동을 준다.그런 감동을 산산조각 내는 것이 때이른 박수다. 아직 지휘자와 연주자의 손이 내려오지 않았는데, 조명도 다시 밝아지지 않았는데 박수를 터뜨리는 사람들이 있다.
뜻있는 청중들은 이런 경우를 ‘안다 박수’라 부르며 비난한다. ‘나 이거 어디서 끝나는지 알아!’ 라고 자랑하려는 게 아니면 애호가의 탈을 쓰고 어찌 그런 순간에 박수를 쳐서 수많은 다른 사람들의 감동을 박살내느냐는 것이다.
실제로 바흐 마태수난곡의 마지막 합창이 끝나는 순간 어떤 청중이 “브라보!!!” 라고 큰 소리로 외치며 박수를 치는 바람에 수많은 사람들이 기겁을 했던 일도 있었다. 브라보라니, 예수가 잘 죽기라도 했단 말인가? 며칠 전엔 부산시향 말러 교향곡 4번 연주회에서, 피날레에 섣부른 박수가 터져 많은 이들이 개탄하는 일도 있었다.이런 상황을 어떻게 막아야 할까. 학교에서 배우면 좋겠지만 국내 교육현실도 어려운 것 같고 이미 학교를 졸업한 청중도 많으니, 연주장에서라도 청중에게 적극적으로 안내해 주면 좋겠다.
연주장에서 안내를 안하는 건 아니다. 너무 예의를 차리니 메시지 전달이 잘 되지 않는 것이 문제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악장 간에는 박수를 치지 마시고, 연주가 끝난 뒤 힘찬 박수로 연주자들을 격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런 방송을 듣고 박수를 참아줘야 할 사람들은 결국 “힘찬 박수”만 기억하게 마련이다. ‘아, 연주가 끝났구나’ 싶으면 큰 고민 없이 힘차게 박수를 친다. 그런 박수는 쉽게 전염된다.
이럴 때 상심하거나 쓴웃음 짓는 무대 위 음악가들의 표정을 본 적이 있는가. 음이 공기중에 퍼져나가 사그러질 때까지의 여운, 그 뒤로 이어지는 침묵의 의미까지를 음악으로 생각하고 혼신의 힘을 다했는데 그게 무심한 박수에 박살날 때의 허망함…. 그 표정을 봤다면 다시는 그런 박수를 칠 수 없다.
그러니 연주장들은 더 적극적으로 안내를 해 주면 좋겠다. 소리가 끝난 뒤에 이어지는 침묵도 음악의 일부라고. 그 침묵까지 끝나기 전에는 박수를 치지 마시라고, 명확한 금지문으로 안내를 해 주면 좋겠다. 연주 시작 전 장내방송으로 그칠 게 아니라, 곡이 끝날 때쯤 무대 뒷벽에 영사기로 “아직 박수 치지 마세요”라고 쏴 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