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arte 칼럼] '안다 박수' 좀 치지 말아주세요
입력
수정
지면A32
죽음을 상징하는 결말을 지닌 곡들은 연주가 끝난 뒤에도 지휘자나 연주자들이 한참 침묵을 이어간다. 이런 침묵을 함께하는 체험은 예술을 넘어 종교적이라고 할 만하다. 그런 감동을 산산조각 내는 것이 때 이른 박수다. 뜻있는 청중은 이런 경우를 ‘안다 박수’라 부르며 비난한다. ‘나 이거 어디서 끝나는지 알아!’라며 자랑 좀 하지 말자.
클래식 애호가 이현식의 ‘클래식 환자의 병상일기’
갤러리에서 일하는 한찬희의 ‘너무 몰랐던 요즘 미술’
쇼노트 부사장의 ‘씨어터 인사이트’
악스트 편집장 백다흠의 ‘탐나는 책’
클래식 애호가 이현식의 ‘클래식 환자의 병상일기’
일본 목판화에 열광한 '나비파'
나비파의 회화에는 평면적인 모습이 돋보인다. 그들은 캔버스는 평면임을 인정하고 색은 색대로 그 위에 순수하게 드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캔버스라는 평면 위에 3차원 공간을 표현하는 것은 허구이며, 관람자들에게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착시효과에 그친다고 생각했다. 이런 맥락에서 일본 목판화(우키요에)는 그들에게 큰 영감을 줄 수 있었다.갤러리에서 일하는 한찬희의 ‘너무 몰랐던 요즘 미술’
뮤지컬 공연에서 환호가 사라졌다
대학로의 중소규모 뮤지컬 공연장에 박수가 사라진 지 오래다. 공연 중에 그렇다는 얘기다. 관객 대부분이 숨죽인 채 공연을 보고, 쌓아둔 감정은 커튼콜에서야 기립박수로 쏟아낸다. 뮤지컬에서 박수와 환호가 반드시 필요한가를 두고 논란은 있다. 하지만 난 ‘필요하다’고 본다. 뮤지컬의 본질은 무대, 관객, 배우의 상호 소통에 있기 때문이다.쇼노트 부사장의 ‘씨어터 인사이트’
해파리가 세상을 망하게 한다니
해파리가 세상을 망하게 하는 소설을 읽었다. 해파리라니. 처음에 든 생각은 해파리로 세상이 망할 수 있다면 지나가는 길고양이로도, 무심코 쓰레기에 앉은 파리로도 세상은 무너질 수 있을 것만 같은데. 그럼에도 임선우의 단편 <빛이 나지 않아요>에서는 변종 해파리로 세상이 망해가는 중이었다. 밤이면 해파리들이 해안가로 몰려온다.악스트 편집장 백다흠의 ‘탐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