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발전에 따른 번영, 저절로 오는 것 아니다” [책마을]
입력
수정
권력과 진보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그래프를 하나 꼽으라면, '1인당 소득 그래프'가 알맞을 것이다. 0에 바짝 붙어 X축과 평행선을 그리던 이 그래프는 1800년대 들어 고개를 들기 시작하더니 로켓처럼 하늘을 향해 치솟았다. 이와 함께 인류는 굶주림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됐다.
대런 아세모글루 외 지음
김승진 옮김
생각의 힘
736쪽|3만2000원
비결은 기술 발전이다. 산업혁명을 일으킨 증기 기관에서 시작해 내연기관, 전기, 통신, 의학, 반도체와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기술 발전과 그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었다. 그런데 이는 거리를 두고 멀리서 지켜본 역사다. 가까이 다가가면 굴곡이 보인다. 산업혁명으로 소수의 사람은 막대한 부를 쌓았지만 일반 노동자 임금은 100년 동안 정체됐다. 기계에 밀려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은 더 궁핍해졌다. 물론 새로운 일자리가 더 많이 생겨났지만, 그 사이에 낀 세대는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권력과 진보>는 이렇게 ‘기술 발전이 진보’라는 통념을 뒤집는다. 저자는 세계적인 경제학자인 대런 아세모글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다. 전작인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와 <좁은 회랑>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공저자인 사이먼 존슨은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경제학자 출신으로 MIT 슬론 경영대학원 교수로 있다.
기술이 사회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에 대해 책은 지난 1000년의 역사를 살펴본다. ‘기술 발전의 흑역사’다. 농업 기술 발전이 당시 인구의 90%에 가까운 농민에게 부를 가져다주지 못했다고 말한다. 중세 말 바닷길이 열렸을 땐 대서양 교역으로 일부가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나, 이면에는 수백만 명의 노예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저자들이 말하는 바는 기술 발전이 저절로 ‘공유된 번영’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상보다 생활 수준이 높은 이유는 우리 앞에 있었던 산업 사회 국면들에서 시민과 노동자가 스스로를 조직해 테크놀로지와 노동 여건에 대해 상류층이 좌지우지하던 선택에 도전했고 기술 향상의 이득이 더 평등하게 공유되는 방식을 강제해 냈기 때문이다.”
이는 오늘날 경제학계와 실리콘밸리를 포함해 사회 전반에 만연한 ‘기술 낙관주의’에 경종을 울린다. 기술 발전의 방향은 고정돼 있지 않으며, 가만히 놔둘 경우 소수의 엘리트층과 권력가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 하나 중요한 문제는 기술의 특성이다. 경제학계는 기술 발전을 무조건 좋은 것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경제 성장의 핵심인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이다. 경제학에선 이를 ‘노동 증강적’ 혹은 ‘자본 증강적’이라고 표현한다. 헨리 포드의 대량 생산 체제 구축이 좋은 예다. 그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자동차 공장에 도입했고, 표준화·분업화·전문화로 생산성을 대폭 끌어올렸다. 차값이 싸진 덕분에 차가 많이 팔렸다. 포드는 노동자를 더 많이 고용하고, 임금도 올려줄 수 있었다.
하지만 ‘노동 절약적’ 기술도 있다. 노동자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그 수를 대폭 줄여주는 기술이다. 사람이 일일이 불을 붙여 주어야 했던 가스 가로등이 전기 가로등으로 바뀐 것이 그런 예다. 전화 교환원, 승강기 운전사, 타자기를 치던 사무원 등이 그렇게 사라졌다.
그렇다면 인공지능(AI)은 노동 증강적일까, 노동 절약적일까. 낙관하는 입장에선 AI가 일자리를 없애도 새로운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AI로 생산성이 대폭 개선된다면 포드처럼 고용이 더 늘어날 여지가 있다. 반대로 생산성 이득이 그리 크지 않은 자동화는 노동력을 대체하는 효과가 더 크다. 저자는 지금 단계의 AI가 바로 ‘그저 그런 자동화’에 해당한다고 우려한다. 저자들은 기술 낙관주의와 비관주의 사이에서 중간을 택한다. 우리의 선택에 따라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작인 <좁은 회랑>에서 저자는 너무 많은 자유도, 너무 많은 국가 권력도 아닌 그 중간 지점에서 가장 사회가 번영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책의 해법도 그와 비슷하다. 국가의 지나친 개입으로 기술 발전을 저해해선 안 되지만, 기술 낙관주의에 빠져 국가가 손을 놓고 있어도 안 된다는 얘기다. 다만 좁은 회랑을 따라 번영을 누린 국가가 세계에서 몇 안 된다는 점을 떠올린다면, 기술 발전에서도 우리가 그 중간을 균형 있게 추구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