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전문가' 76세 부흐빈더는 끝까지 경쾌하게 건반을 내달렸다
입력
수정
지면A29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지난 1일 오후 7시 서울 예술의전당 음악당 로비에는 10m가 넘는 줄이 늘어섰다. 유럽에서 날아온 76세의 노장 피아니스트, 현존 최고의 베토벤 해석가로 불리는 루돌프 부흐빈더에게 사인받기 위한 행렬이다. 부흐빈더의 얼굴은 100분간의 열연 탓에 상기된 표정이었지만 미소가 가득했다(사진). 부흐빈더는 공연을 마치면 사인회를 요청해왔다. 관객과 직접 만나고 소통하면서 에너지를 받으려고 하는 것 같다는 게 공연기획사의 설명이었다.
28일부터 7회에 걸쳐 전곡 연주
부흐빈더는 지난달 28일부터 열흘간에 걸쳐서 일곱 번의 공연을 통해 32개 베토벤 소나타 전곡을 연주한다. 통산 60번째 전곡 투어다. 지난 1일은 한국에서 하는 베토벤 전곡 연주의 세 번째 날이었다. 관객과 직접 만나 인사하는 것이 정말로 효과가 있었을까. 부흐빈더의 공연은 경쾌하고 힘이 넘쳤다. 이날 프로그램엔 32개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가운데 5곡이 포함됐다. 젊은 베토벤의 혁신성이 두드러지는 3번, 베토벤 초기 대곡으로 꼽히는 7번, 독특하게 2악장으로 구성된 19번, 베토벤이 직접 이름을 붙인 소나타 26번 ‘고별’, 후기 소나타의 시작인 28번 등 다들 대곡이었으나 부흐빈더는 끝까지 에너지 넘치는 연주를 보여줬다.부흐빈더는 특유의 빠른 템포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직진했다. 낮은 음역을 타건할 때는 매우 굵고 강하게 연주했고, 높은 음역대에서는 레가토(음을 부드럽게 이어 연주)로 여린 소리를 들려줬다. 이런 연주 스타일은 베토벤이 살던 시대의 포르테피아노(현대 피아노의 전신)의 소리를 연상케 했다. 포르테피아노는 건반이 가볍고 음역대별로 음색과 음량의 차이가 컸다.
그는 악보와는 타협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줬다. 표기된 악상기호를 최대한 살려냈다. 스포르찬도(그 음을 강하게 연주), 포르티시모(매우 강하게) 직후 피아니시모(매우 여리게) 등. 한 프레이즈에서도 수차례 바뀌는 변화무쌍한 다이내믹을 두드러지게 표현했다. 물론 전체적으로 빠른 템포 때문인지, 종종 음이 빠지거나 희미하게 들리기도 했지만 자신만의 확고한 해석과 입체적인 음악에서 수십 년에 걸친 그의 헌신이 충분히 와 닿았다.
앙코르 곡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번’. 또 베토벤이었다. 지난 사흘간 32개 소나타 중에서 절반을 연주했고, 며칠 뒤 나머지 절반을 마저 해야 하는데도 말이다. “베토벤의 음악은 단 한 번도 질린 적 없고 여전히 새로 배운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그의 말이 떠올랐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