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이미 팔았는데…AI 강조하던 손정의, 생성형 AI 투자 기회 놓쳐
입력
수정
소프트뱅크, 400개 이상 AI 스타트업에 1400억달러 투자
생성형 AI 유니콘 기업 26개사 중 단 한 곳만 지분 보유
엔비디아 지분 2019년 매각…남은 건 암 IPO 뿐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손 회장은 6년 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투자 펀드인 비전펀드를 출시하면서 "우리는 AI라는 한 주제만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 그는 1400억달러(약 182조8400억원)가 넘는 자금을 400개 이상의 스타트업에 투자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시장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기업가치 10억달러가 넘는 생성형 AI 유니콘기업 26개 사 가운데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회사는 하나뿐이다. 반면 소트트뱅크의 경쟁사인 코투, 라이트스피드, 타이거글로벌매니지먼트 등은 생성형 AI 기업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
손 회장은 지난달 열린 연례회의에서 "내가 많은 실수를 해서 부끄러웠다"면서 다시 AI 분야에 선두에 서겠다고 약속했다.
소프트뱅크는 생성형AI 중심에 선 반도체회사 엔비디다에 지난 2017년 40억달러를 투자하면서 4대 주주로 등극했지만, 이를 2019년 매각했다. 이후 엔비디아 주가가 이후 10배 치솟았다는 점은 소프트뱅크의 가장 아픈 부문이다.

미국의 음식배달 앱 도어대시와 한국 전자상거래앱 쿠팡 등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기술 기업의 주가는 최근 AI 붐에서도 크게 오르지 않았다.
희망은 남아 있다. 소프트뱅크는 2016년 320억달러에 인수한 반도체 칩 설계 기업 암(Arm)에서 많은 수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암은 조만간 기업공개(IPO)에 나설 예정인데 600억달러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덕분에 5월 말 이후 소프트뱅크 주가도 33% 이상 급등했다.WSJ는 "손 회장은 2017년부터 2022년 중반까지 실적발표에서 'AI'를 500회 이상 언급했다"며 "소프트뱅크가 얼마나 이 (AI) 부문을 강조했는지를 감안할 때 비전 펀드가 AI 투자 트렌드를 놓쳤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고 평가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