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의 IT인사이드] 급성장한 알뜰폰, 이름 바꿀 때 됐다
입력
수정
지면A29
이승우 IT과학부 기자알뜰폰 전성시대다. 통계만 보면 분명히 그렇다. 지난 4월 말 기준 알뜰폰 가입자 수는 1389만 명, 점유율은 17.6%에 이른다. LG유플러스(20.7%)를 3.1%포인트 차이로 따라붙었다. 4월 한 달 동안 알뜰폰으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 수는 24만7428명이다. 통신 3사로 번호 이동한 사람을 모두 합친 숫자(19만1258명)보다도 많다. 통신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 알뜰폰이 도입된 것은 2010년이다. 이명박 정부가 내걸었던 명분은 가계 통신비 절감. 통신사 대비 싼 요금제였다. 그래서 이름도 알뜰폰이다. 이듬해 생긴 알뜰 주유소와 탄생 배경이 동일하다.사업 초기 알뜰폰은 부진을 면하지 못했다. 2010년대 초반은 LTE(4세대 이동통신)가 도입되면서 길거리에서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가능해졌고, 수많은 제조사가 신형 스마트폰을 내놓으며 점유율 경쟁을 벌이던 시기다. 가입자 유치를 위한 막대한 보조금도 살포됐다. 알뜰폰은 이런 경쟁 구도에 낄 수 없었다. 3G(3세대) 요금을 팔았고 신형 스마트폰 확보도 어려웠다. 보조금은 언감생심이었다.
외부 요인으로 성장한 알뜰폰
지난 10년 새 알뜰폰 점유율이 오른 것은 순전히 외부 변수 때문이다.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 등장하면서 통신사의 보조금 경쟁이 줄었다. 단말기 자급제 도입에 따라 신형 스마트폰 공기기를 구입한 뒤 알뜰폰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게 됐다. 5세대(5G) 이동통신이 도입됐지만 킬러 콘텐츠 부족으로 알뜰폰의 주력인 LTE 요금제를 써도 불편함이 없었다. 이런 요인이 맞물리면서 알뜰폰의 점유율은 2018년 말 12%에서 지난 4월 17.6%까지 뛰었다.최근 알뜰폰으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가 급증한 이유도 밖에서 찾아야 한다. 올해 들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자사 망을 쓰는 알뜰폰 사업자에게 주는 지원금을 늘렸다. 알뜰폰 업체들은 이 돈으로 6~7개월간 요금을 받지 않는 0원 요금제를 내놨다. 최근 통신사 보조금이 줄어들자 0원 요금제 역시 자취를 감췄다.서비스 경쟁력 갖춘 사업자 필요
알뜰폰의 정식 명칭은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MVNO)다. 실제로 무선망을 구축하는 대신 통신 3사와 같은 이동통신망 사업자(MNO)의 망을 빌려 서비스를 제공한다. MNO는 국가로부터 주파수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대규모 투자를 통해 망을 깐다. 자연히 독과점 체제가 된다. MVNO는 이런 독과점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사 입장에선 주파수 여유분을 빌려주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아 수익을 낼 수 있다.MVNO 제도의 또 다른 장점은 다양한 분야의 업체들이 통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을 매개로 유통, 금융 등 기존 서비스와 결합해 가입자의 ‘록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영국의 버진모바일은 음반이나 항공권을 할인해주는 방식으로 이용자를 끌어들였다. 값싼 통신료도 중요하지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도 못지않게 중요하다.한국의 알뜰폰 시장은 서비스보다는 가격 경쟁에 편중됐다. 통신 3사의 자회사를 제외하면 중소 업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알뜰폰 사업이 본업이다 보니 가격 외 서비스를 내세우기 어렵다. 알뜰폰 정책은 매번 업체의 생존 보장으로 흘러간다. 4일 공개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도 볼 수 있듯 알뜰폰 지원 정책의 핵심으로 통신사의 도매대가 인하가 나오는 이유다. 지속하기 어려운 구조다.
결국 서비스로 경쟁할 수 있는 업체들이 시장에 진출해야 알뜰폰이 통신 3사의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알뜰폰은 값싼 서비스여야만 한다는 프레임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참에 알뜰폰이라는 이름부터 바꿔보면 어떨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