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80억 인구 평균 취침 시간은 '0시 1분'
입력
수정
전세계 인구는 평균적으로 자정이 넘은 직후 잠이 들고, 오전 7시 42분 기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와 강원대 박성규 교수, 영국 노키아벨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이런 빅데이터 기반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었다고 6일 밝혔다.연구팀은 노키아 스마트워치 데이터 5200만여 건을 토대로 수면 패턴을 분석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스페인, 영국, 핀란드, 일본 등 11개국 3만82명으로부터 4년간 수집한 데이터다. 스마트워치의 모션 센서로 뒤척임 등의 강도와 주기, 양상 등을 따져 처음 잠드는 시간과 중간에 깨는 시간 등을 파악했다.
세계 평균 취침 시간은 오전 0시 1분, 기상 시간은 오전 7시 42분으로 나타났다. 기상 시간은 국가마다 차이가 별로 없었지만 취침 시간은 지리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편차가 컸다. 국민소득이 높을수록, 개인주의보다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취침시간이 늦었다. 조사 대상 국가 중 일본의 총 수면시간이 가장 낮았고, 핀란드가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이와함께 수면 효율성(취침 중 깨지 않고 연속으로 자는 시간의 비율)을 측정했다. 하루 중 걸음 수가 많을수록 더 빨리 잠들고, 밤에 덜 깨는 경향을 확인했다. 이런 운동량은 수면 효율은 높이지만, 총 수면 시간을 늘리지는 않았다.노키아벨연구소의 다니엘 퀘르시아 박사는 "고소득 국가 국민일 수록 근무 시간이 길어져 취침 시간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차미영 교수는 "수면은 비만, 치매 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고령화가 심해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적절한 수면을 보장하는 사회적 지원과 개인적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와 강원대 박성규 교수, 영국 노키아벨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이런 빅데이터 기반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었다고 6일 밝혔다.연구팀은 노키아 스마트워치 데이터 5200만여 건을 토대로 수면 패턴을 분석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스페인, 영국, 핀란드, 일본 등 11개국 3만82명으로부터 4년간 수집한 데이터다. 스마트워치의 모션 센서로 뒤척임 등의 강도와 주기, 양상 등을 따져 처음 잠드는 시간과 중간에 깨는 시간 등을 파악했다.
세계 평균 취침 시간은 오전 0시 1분, 기상 시간은 오전 7시 42분으로 나타났다. 기상 시간은 국가마다 차이가 별로 없었지만 취침 시간은 지리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편차가 컸다. 국민소득이 높을수록, 개인주의보다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취침시간이 늦었다. 조사 대상 국가 중 일본의 총 수면시간이 가장 낮았고, 핀란드가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이와함께 수면 효율성(취침 중 깨지 않고 연속으로 자는 시간의 비율)을 측정했다. 하루 중 걸음 수가 많을수록 더 빨리 잠들고, 밤에 덜 깨는 경향을 확인했다. 이런 운동량은 수면 효율은 높이지만, 총 수면 시간을 늘리지는 않았다.노키아벨연구소의 다니엘 퀘르시아 박사는 "고소득 국가 국민일 수록 근무 시간이 길어져 취침 시간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차미영 교수는 "수면은 비만, 치매 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고령화가 심해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적절한 수면을 보장하는 사회적 지원과 개인적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