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도로 지하화, 산업벨트 육성…수도권 '20년 대계'

서울·경기·인천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발표
고질적인 수도권 출퇴근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GTX-E·F 등 신규 철도망을 조속히 확정하고 주요 도로 지하화에 속도를 낸다. 산줄기와 한강, 서해뱃길 등을 중심으로 생태공간을 복원해 시민 여가공간을 확충하고 신성장 비즈니스 벨트를 구축해 산업 경쟁력을 높인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7일 경기도 인재개발원에서 공청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초안을 발표했다.

광역도시계획은 도시계획 체계상 최상위 계획이자 광역계획권의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도시·군기본계획과 도시·군관리계획의 지침 역할을 한다. 3개 시·도는 광역도시계획협의회를 구성하고 2019년 3월부터 4년여간 공동연구를 진행해 이번 초안을 마련했다.
◇ '살기좋은 수도권'…광역교통·녹지여가 공간 확충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은 인구 2천600만명이 거주하는 수도권의 미래상을 '살기 좋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상생·통합의 수도권'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10대 핵심 과제를 담았다.

우선 김포골드라인 사태로 대표되는 수도권 주민의 출퇴근 불편을 해소하는 광역교통수단 확충이다. GTX-A·B·C 조기 건설을 추진하고 연장 필요성을 검토, GTX-D(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신규노선과 GTX-E·F 노선안도 조속히 확정키로 했다.

이는 3개 시·도가 설정한 목표로, 구체적인 계획과 노선은 국토교통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확정된다.

간선도로와 철도의 상습 정체 구간을 복층화해 통행량을 분산하고 차량정체를 해소한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경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와 경인선, 경부선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지하화 사업에 속도를 낸다.

지하화를 통해 여유가 생긴 상부공간은 녹지화해 공공을 위한 공간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지역 단절을 해소하고 주거·상업·문화·여가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연계 개발을 유도한다.

현재 단절된 한북·한남정맥 등 주요 산줄기와 연안, DMZ, 광역녹지·하천, 개발제한구역, 도시공원 등을 연계해 광역생태축을 설정하고 생태 복원에도 힘쓴다.

서울의 경우 북한산을 시작으로 종묘, 세운녹지, 남산, 용산공원, 노들섬, 현충원, 관악산으로 이어지는 남북 녹지축을 조성한다.

개발제한구역 합리화 차원에서 그린벨트 내 철도 역세권의 토지이용을 고도화하고 단절된 녹지축을 연결할 수 있게 그린벨트를 대체 지정한다.

수송부문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장거리 수송은 광역 거점을 중심으로 철도 등 대중교통 연계를 강화하고 근거리 이동은 전기차, 개인형 이동장치를 활성화한다.

통합교통서비스(MaaS) 운영 시스템도 마련한다.

수도권 공동 교통수단 통합결제 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과 도심항공교통(UAM)을 확대한다.

특히 수상 교통수단으로 한강에 리버버스를 도입한다.

지역주민의 문화·여가 수준 향상을 위해 권역별 복합문화거점과 광역관광루트를 만든다.

생태자원을 활용한 DMZ평화생태관광루트, 녹지축과 연계한 한북·한남정맥 하이킹루트, 수계축을 기반으로 한 한강변 여가관광루트·서해안 해양레저루트·안성천 자전거루트 등을 추진한다.
◇ 국제경쟁력 강화…산업기지 육성·관광자원 개발
도심지 내 개발 가용지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이미 조성된 복합환승센터와 차량기지를 입체복합 개발한다.

서울역, 청량리, 삼성, 대곡, 용인, 수원, 계양, 부평 등 주요 GTX 역과 수서, 신내, 수색, 구로, 방화, 귤현 등 도시철도 차량기지가 해당한다.

수도권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분야별 산업벨트를 구축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부평을 지나 서울 마곡·여의도·용산·청량리·홍릉·삼성·잠실·강남·양재를 '글로벌 비즈니스 벨트'로 묶어 첨단산업기지로 육성한다.

의정부와 서울 용산·강남·양재·경기 성남·수원·용인·평택은 'ICT·스마트벨트'로, 강화·김포·시흥·안산·화성·평택항은 '국제물류 첨단산업 벨트'로 육성한다.

가평·남양주·양평·광주·여주·이천은 '생태관광·스마트농업벨트'로, 파주·양주·동두천·포천은 '평화경제벨트'로 묶는다.

한강, 서해뱃길 등 해양·수변공간 이용을 활성화한다.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인 서울항을 조성하고 한강∼경인아라뱃길 유람선 운항을 확대한다.

서해연안에는 해양환경체험관 등을 만들고 DMZ와 연계한 유람선 시범운행도 추진한다.

지속적인 공동현안 협의를 위해 광역 지자체장, 기초 지자체장 대표, 광역·기초 지자체 의회 대표, 국토부가 참여하는 '수도권 발전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기존의 중앙정부 주도 하향식 구조를 개선하자는 취지다.

2040 계획에서 서울·의정부·수원·인천은 사회·경제·산업 등 수도권의 종합적 중심이 되는 '광역거점도시'로 설정했다.

또 남양주·고양·성남·화성을 '권역거점도시', 파주·부천·안양을 '지역거점도시', 포천·강화·양평·이천을 '지구거점도시', 하남·김포·용인을 '전략거점도시'로 정했다.

3개 시·도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세계 대도시권 중 경제 규모를 현재 5위에서 2040년 3위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계획안은 공청회에 이어 지방의회 의견 청취와 시·도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절차를 거쳐 국토부에 제출되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후 최종 확정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