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나와 똑같은 존재가 온라인에 있다면
입력
수정
지면A19
두 번째 인류내가 죽은 뒤 나와 똑같은 사람이 온라인 세상에 나타난다면 어떨까. 나를 단순하게 그림 등으로 캐릭터화한 아바타가 아니라 외형과 목소리, 성격, 취향 등을 그대로 옮긴 ‘디지털 클론’이 있다면.
한스 블록, 모리츠 리제비크 지음
강민경 옮김 / 흐름출판
400쪽|2만4000원
2023년 7월 3500만 회에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한 유튜브 동영상이 있다. 3년 전 MBC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영상이다. 한 엄마가 희귀 난치병으로 세상을 떠난 딸과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다시 만나는 모습을 그렸다. 목소리와 외형을 복제해 가상세계에서 엄마와 딸이 대화를 나누고 뛰어노는 장면에 많은 시청자가 공감하고 슬퍼했다. 엄마는 쉴 새 없이 눈물을 흘렸고, 건강한 아이의 모습에 행복해했다.세상을 떠난 사람의 생전 모습을 담은 디지털 클론이 디지털 세계에서 영원히 사는 존재가 될 수 있을까. <두 번째 인류>를 쓴 독일 영화감독인 한스 블록과 모리츠 리제비크는 이 같은 질문을 던진다. 저자들은 전 세계를 여행하며 디지털 불멸을 꿈꾸는 사람들을 만난 사례를 책에 담았다.
먼저 떠난 가족을 디지털 클론으로 만들어 슬픔을 이겨내고, 암에 걸려 생이 얼마 남지 않은 삼촌이 곧 태어날 조카를 위해 자신과 관련한 데이터를 빠짐없이 기록하기도 한다. 이런 사례들을 통해 인간 유한성의 끝이 시작되고 있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그러나 삶과 죽음 사이에 껴들어 디지털 세계에서 영면하는 건 생각보다 복잡한 일이다. 누군가를 살려낼 권리는 유가족에게 있는지, 혹은 기술 기업에 있는지, 고인의 잊힐 권리는 존중하지 않아도 되는 건지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저자들은 이 같은 디지털 불멸성이 생각보다 빨리 우리 삶을 파고들지 모른다고 예측하면서 끊임없이 질문한다. 디지털 클론을 우리의 영혼과 같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게 남긴 기록들이 그 사람의 본질일까. 디지털 클론을 ‘살아있다’고 전제해 말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과 이야기하는 게 곧 그 사람과 이야기하는 것과 같을까.미래가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궁금하다면, 그리고 죽음에 대한 인간의 원초적인 공포를 디지털 클론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알고 싶다면 도움이 될 책이다.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