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한 것이 아름다워" 스스로 모델이 된 '천의 얼굴' 신디 셔먼
입력
수정
에스파스 루이비통 서울 '신디 셔먼 개인전'
할리우드 여배우부터 고전 명화 속 남성까지
성별·시간의 경계를 뛰어넘은 '천의 얼굴'
파격적 연출로 보편적 미와 가치에 의문 던져
아름답지 않은 패션사진에 패션계 열광
신디 셔먼의 역사 초상화(History Portraits·1989~1990) 시리즈. /루이비통재단 미술관
초록빛 드레스를 입은 여자가 가지런히 손을 모은 채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다. 고전적인 머리 장식과 드레스 레이스가 영락없는 중세 귀족여성의 모습이다. 그 옆에는 머리가 벗겨진 수도승이 근엄한 표정으로 의자에 앉아있다. 둘 다 섬세한 붓터치로 그려낸 '중세 명화' 같지만, 사실 여기엔 비밀이 숨겨져있다. 모두 그림이 아닌 사진이라는 점이다.아직 놀라긴 이르다. 사진 속 여자와 수도승이 모두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눈치챘는지. 여자의 오뚝한 코와 수도승의 대머리는 가짜로 붙인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고독한 광대부터 뇌쇄적인 포즈의 패션모델, 순수한 눈빛의 소녀까지. 서울 청담동 루이비통 메종 서울 4층 전시장에 걸려있는 사진은 모두 한 사람이 혼자 분장하고 찍은 모습이다.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신비의 아이콘'
무제 필름 스틸(Untitled Film Stills·1977~1980) 시리즈 중 하나. /루이비통재단 미술관
이들을 연출한 주인공은 바로 '미국의 대표 현대 사진작가' 신디 셔먼(69)이다. 셔먼을 미국의 대표 예술가 반열에 올려둔 건 '그녀 자신'이다. 50년 가까이 카메라에 담은 유일한 피사체가 오직 본인 한 명이라서다. 셔먼은 분장, 카메라 구도, 빛의 힘을 빌려 다양한 인물로 변장한다.그는 이런 작업을 1970년대부터 해왔다. 자신을 B급 느와르 영화에 등장하는 여배우처럼 꾸며서 찍은 '무제 필름 스틸' 연작(1977~1981)이 대표적이다. 지금이야 자신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게 흔한 일이지만, 당시 사진계에서 그의 작품은 신선한 파격이었다.
셔먼의 연출엔 한계가 없다. 할리우드 영화에서 본 듯한 아름다운 여배우, 바로크 시대 명화 속 청년, 괴기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마네킹…. 그는 여성과 남성, 현대와 과거, 인간과 사물,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든다.
셔먼은 이렇게 철저하게 연출된 자신의 모습을 통해 현실을 비틀고 꼬집는다. 때로는 여성을 위에서 내려보는 듯한 포르노그라피 사진의 구도를 역이용해 가부장적 사회에 일침을 가하고, 때로는 유명 패션 브랜드의 옷을 우스꽝스럽게 찍어서 보편적인 미의 기준에 의문을 던진다.
앤디 워홀, 알베르토 자코메티 등 쟁쟁한 거장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프랑스 파리 루이비통재단 미술관이 2020년 대규모 회고전의 주인공으로 셔먼을 택한 이유다. 그의 시기별 대표작 300여 점이 총출동한 이 전시는 '초대형 블록버스터 전시'라는 평가와 함께 2021년 1월 막을 내렸다. 이후에도 많은 사람들이 전시가 끝난 걸 아쉬워하자, 재단은 세계 곳곳에 있는 전시장 '에스파스 루이비통'을 통해 셔먼의 작품을 알리기로 했다.
◆사진으로 현실을 비틀고, 꼬집다
이번 전시의 대표 이미지인 '남성'(2019)도 꼭 봐야 할 작품. 2020년 회고전에서 처음 공개한 이 작품 속의 남자는 쓸쓸한 눈빛과 함께 옛 셔먼의 모습이 그려진 티셔츠를 입고 있다. 뒷배경은 셔먼이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곳곳을 다니며 찍은 풍경을 디지털로 합성한 것이다. 예전 촬영 방식만 고집하지 않고, 사진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신의 작품을 진화시키는 셔먼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전시는 9월 17일까지. 무료 관람이지만, 사전 예약해야 한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