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육군 "작년 수방사 대드론 작전 200여 회 실시"
입력
수정
"레이저·대공무기 2020년 대 중반 전력화""민간 영역에서 드론 비행이 늘면서 수도방위사령부는 작년 한해 대드론 작전을 200여 회 실시했습니다."
전방은 다중복합 체계·후방은 방호목포별 체계로
최근 용산 육군회관서 열린 '대드론체계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육군방공학교 관계자는 "원전, 항만, 공항에 이르기까지 각종 불법 비행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북한의 무인기 위협뿐 아니라 최근 국내에서 불법 드론 비행도 늘면서 군의 대드론 대응 체계에 '비상'이 걸렸다는 설명이다.육군 측은 "현존하는 (군) 방공 전력은 유인기에 최적화돼 있는 무기"라며 "대드론 작전을 완벽한게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 이어 "드론 대응 전력을 보강하고 있지만 무기체계는 전력화될 때까지 최소 약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며 "국지 방공 레이더가 일부 전력화 되고 있으나 레이저, 대공무기 등은 2020년 대 중반 이후에나 전력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군의 대드론 전투수행 방법도 대폭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전방 지역의 경우 북한에서 오는 무인기가 적기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먼 거리에서 드론을 탐지하고, 여러 대드론 체계를 겹겹히 쌓는 다중복합 대드론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게 군의 복안이다. 반면 후방 지역은 '방호 목표별' 대드론 체계를 운용하겠다는 목표다. 육군 측은 "후방은 방어해야 할 군사 보호시설이 500개소에 달할 만큼 산재돼 있고, 많은 종류의 드론들도 혼재될 것으로 본다"며 "국가 시설의 경우 통합방위법상의 시설장 책임 하에 자체 방어계획을 수립해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드론 탐지 체계는 많이 통용되는 레이더뿐 아니라 무선주파수(RF)스캐너, 노이즈 센서, 각종 영상 장비 등을 '멀티 센싱'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방공 지휘통제 측면에선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적 위험을 분석하고, 최적의 무기체계를 추천받는 등 기능이 갖춰질 예정이다. 드론 도심항공교통(UAM)·드론 교통관리(UTM) 등 민간 체계와 자동 연동되는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육군 측은 "신속시범 획득사업, 신속시범 연구개발사업, 핵심부품 국산화 사업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해서 최대한 (대드론 체계)를 빨리 전력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민·관·군이 함께 이같은 연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민간 (방산업체)의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