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런 우려' 새마을금고에…은행권, 6조 규모 유동성 지원

환매조건부채권 매입
국내 주요 은행들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겪은 새마을금고에 6조원 규모의 단기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가 발행한 환매조건부채권(RP)을 매입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과 산업은행 기업은행은 지난 주말 이후 각각 새마을금고와 RP 매입 계약을 체결했다. 금융당국이 지난 7일 은행권에 “새마을금고 단기 유동성 지원에 적극 협조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각 은행은 새마을금고가 보유한 국고채, 통화안정증권 등을 담보로 RP 매입 계약을 맺어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별 RP 매입 규모는 5000억~2조원 선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통해 6조원 안팎의 유동성이 새마을금고에 지원될 예정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부로부터 새마을금고의 RP를 매입해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구체적인 RP 매입 규모는 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부분 9~11일 단기물 매입이 이뤄졌다”고 했다.

뱅크런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지난 주말 이후 예금 이탈 속도는 줄고 있다. 주말 전 마지막 영업일인 7일 이후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규모는 계속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주말이 지난 후에도 이탈 규모가 계속 줄었다”며 “이탈세가 확연히 꺾인 분위기”라고 말했다.정부는 이번주가 새마을금고 사태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총력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날부터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실무자로 구성된 ‘범정부 새마을금고 실무 지원단’이 가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새마을금고중앙회에 상주하며 비상 대응 체제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국은행도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시중 유동성을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