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되는 제2금융권 위기설…부채의 역습

연체율 증가세 진행중…새마을금고 6%대까지
저축은행 신용등급 전망도 줄줄이 하향세
"금융권 전반적인 실태점검 우선돼야"



이슈플러스 시간입니다. 경제부 장슬기 기자 나와있습니다. 오늘은 어떤 이슈입니까?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로 인한 불안이 저축은행이나 상호금융 같은 제2금융권 전반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연체율 때문인데요. 오늘은 '제2금융권의 위기설'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로 최근에는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 망하는 것 아니냐, 이런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금융권에선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금융당국은 "위기 아니다", 전문가들은 "안심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나뉩니다. 당국이 위기설에 선을 긋는 이유는 아무래도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한 이유도 있을테고, 실제 과거 금융위기나 저축은행 사태 때에 비해서 현재 수치들이 나쁘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연체율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한 곳에선 부실이 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실제 연체율 추이는 어떻습니까?

네, 먼저 그래프를 하나씩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최근 뱅크런 위기까지 맞았던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입니다. 1%대에서 금리 인상이 시작된 작년 말부터 급격히 오르기 시작해 6월 기준으로 잠정 6.4%까지 찍었습니다. 정부에서 "사실상 전액 예금자보호가 된다"고 진화에 나서면서 자금이탈은 다소 진정 국면을 맞긴 했지만, 연체율 추이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저축은행의 연체율입니다. 새마을금고와 상황은 비슷합니다. 아직 2분기 기준으로 수치가 발표되진 않았는데, 1분기인 5.10%보다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물론 과거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하기 전 2008년 연체율이 15%였던 것에 비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긴 합니다만, 아직 증가세가 '진행형'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입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도 연체율 증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네.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제2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은행에 비해 저축은행은 건전성이 더 취약하다보니 PF 부실 위험이 더 크게 반영돼 최근에는 신용등급 전망도 줄줄이 하향조정되고 있습니다. 이런 움직임들이 제2금융권 위기설에 더 힘을 싣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연체율이 계속 오른다는 건 말 그대로 빚은 갚지 못하는 차주들이 늘고 있는다는 의미인데, 금융사들의 대응책은 없습니까?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돈을 안 빌려주는 겁니다. 오늘 금융당국이 6월 기준의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했는데요. 제2금융권의 경우 저축은행이나 상호금융사들이 신용대출을 대폭 줄이면서 대출 증감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조4,000억 원이나 감소했습니다. 제2금융권 대출문턱이 높아졌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이미 보유한 부실대출을 어떻게 관리할 것이냐에 대한 문제가 남는데, 현재 당국과 저축은행업계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이 부실채권 매각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저축은행이 부실채권을 또 다른 곳에 판다는 의미입니까?



네 맞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우리금융F&I를 비롯해 부실채권을 매입할 수 있는 유동화전문회사 5곳을 선정했습니다. 그 동안은 일반 신용정보회사들이 채권을 사가면 채권추심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한국자산관리공사, 즉 캠코에만 부실채권을 매각하도록 규제했습니다. 그런데 한 곳에서만 부실채권을 사가니 가격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매각가가 최대 50%나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건전성도 건전성이지만 일단 채권 자체를 너무 싸게 팔게 되는 셈이기 때문에 매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 현재는 연체율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죠. 당국에서 저축은행들의 부실채권을 매입할 수 있는 회사들을 더 많이 열어준 겁니다. 쉽게 설명하면 저축은행이 떠안고 있는 부실채권을 넘길 수 있는 회사가 다수 생긴 만큼 가격 경쟁도 자연스레 일어나고,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덜 손해보며 부실채권을 팔면서 연체율 관리도 할 수 있는 겁니다.



위기가 없을 것이라곤 하지만 사실상 정부까지 나서 위기를 막는데 총력을 다하는 모습입니다. 뱅크런 같은 위기를 피하기 위해선 국민들의 불안 심리를 잠재우는 것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맞습니다. 이를 위해선 금융권 전반적으로 실태 점검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관련해선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의원의 인터뷰 직접 보시겠습니다.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 : 금융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라는 게 높잖아요. 지금 새마을금고 사태가 진정이 됐다고 하더라도 그 것이 제2금융권으로 번지지 않을까에 대한 우려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니까…그래서 저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반적으로 실태 점검을 한번 빠르게 해야 될 필요가 있을 것 같고요. 그 실태 분석을 통해 이제 대안들은 하나씩 만들어내야 되겠죠.]



네, 경제부 장슬기 기자였습니다.
장슬기 기자·이민재 기자 jsk9831@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