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한미 금리차 불안…이창용 "한차례 인상 가능성 열어놔야"
입력
수정
지면A4
한은 4연속 금리동결 年3.5%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뒤 연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전원이 향후 금리 수준에 대해 연 3.75%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금리 인하를 언급한 위원은 하나도 없었다”고 말했다. 국내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데다 한은이 이날 4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시장에선 한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끝나고 조만간 금리 인하도 가능할 것이란 기대가 퍼졌다. 하지만 이 총재는 ‘한 차례 더 추가 인상 가능, 금리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란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금리인하 언급 금통위원은 없어
새마을금고 사태 관리 가능
구조개혁 늦어져 경쟁력 약화
○금통위원 전원 “연 3.75% 가능성”
금통위원 전원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이유에 대해 이 총재는 가계부채 증가세와 함께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강도, 여전히 높은 근원물가 수준을 꼽았다.이 총재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로 낮아졌지만 기저효과에 따라 한국과 마찬가지로 이후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 같은 점을 감안해 Fed가 금리를 몇 번 더 올릴지 오는 9월까지 지켜보고, 한국 외환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5.00~5.25%다. 상단을 기준으로 한국 기준금리보다 1.75%포인트 높다. Fed가 오는 25~26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리면 금리차는 사상 처음으로 2%포인트로 벌어진다. 시장에선 Fed가 이달 말 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 자본이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하지만 이 총재는 “(외국자본은) 한·미 금리차에 단순히 반응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금리차를 비롯해 다양한 요인이 “종합적으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볼 것”이라고 했다.
근원물가에 대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과 양호한 서비스 수요 때문에 근원물가가 목표 수준보다 상당히 높다”며 “(올해 근원물가 상승률이) 당초 예상한 3.3%를 웃돌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이 총재는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상당 기간 긴축 기조를 이어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금시장 이상징후 없다”
이 총재는 새마을금고 사태 등과 관련, ‘부동산 레버리지로 인한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에는 “부동산 레버리지가 컸으니 조정 과정에서 사건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업권 전체가 위기에 몰리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저축은행 사태, 카드 사태 등과 같은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지 않을 것이란 의미로 파악된다. 이 총재는 “새마을금고 중에서도 건전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이 나뉘어 있고, 작년 말 레고랜드 사태도 모든 증권사가 문제 될 것 같았지만 몇몇 증권사의 문제였다”며 “연착륙 과정에서 대처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자금시장 상황에 대해서도 “이상징후가 없다”고 했다.구조개혁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순위가 지난해 13위로 하락한 것에 대해 “환율 하락에 따른 단기적인 변동이라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고 운을 뗀 후 “걱정스러운 것은 구조적 문제”라고 했다. 이 총재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개혁을 미룬 영향으로 기업 경쟁력이 많이 둔화했다”며 “이로 인해 성장률이 낮아지면 경제 규모 순위도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출산 트렌드는 ‘정해진 미래’가 아니라 구조개혁을 통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문제”라고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