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규제 완화해 녹지 확보…'오세훈표' 녹지도심 사업 본격 추진
입력
수정
서울시가 건축규제를 완화해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밀·복합 개발을 유도하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실현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시는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안에 도시계획시설사업(다동공원) 1곳과 주민 제안된 9개 지구 등 전체 10곳에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적용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대규모 민간 개발 때 대지 내 건축물의 면적(건폐율 50% 이하)을 줄이고 저층부에 녹지와 개방형 공공공간을 조성(30% 이상)해 시민들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단순히 물리적 공간 확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향유 할 수 있는 활력 있는 공간이자 생태계 다양성을 증진하고 도시열섬현상, 우수 저류 등 집중호우 등에 대응하는 ‘미래지향적 공공공간’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남산, 청계천 등 주요 도심 생태·환경축을 고려해 민간과 공공부지, 인접 지역과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확보해 연속해서 녹지를 공급할 방침이다. 녹지공간의 확장성을 감안해 외부 공간 휴식 기능, 보행자 중심의 가로 이용 기능, 지역문화 활동 기능 등 다양한 공간 기능도 추구한다.
서울시는 도시 정비를 통해 경쟁력 있는 도심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인 만큼 건축물 저층부 핵심 점포와 보도가 연결되게 배치하고, 열린 공간 제공, 지하공간 연계, 지하철 출입구 연결 등을 통해 건축물의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높여 지역 활성화 등을 유도한바는 계획이다.그간의 도시 계획 과정은 일상 생활권에 도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데 미흡했다는 판단에서다.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한 도시계획시설사업(공원)과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사업 등도 한계가 있었다.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을 통해 법적으로 확보되는 공원의 면적은 약 5% 정도에 불과하다. 기존에 조성된 공개공지는 건물에 부속적인 형태로 조성돼 보행환경을 저해하고 활용도가 떨어지는 등 공공적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부족했다. 서울시는 전체 10곳에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적용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추진사업으로 진행 중인 다동공원은 현재 ‘무교·다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일부 사업이 차질을 빚으며 온전한 공원으로 조성되지 못하고 주차장, 파출소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서울시는 토지의 약 80% 소유권이 확보됐음에도 일부만 공원으로 이용되는 다동공원의 문제점을 조속히 해결하고, 이 일대를 서울의 새로운 비전을 상징하는 도심 표준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 선제적으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분 조성된 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계획시설사업을 통해 비교적 적은 공공재원을 투입하여 업무 및 상업시설 밀집 지역에 문화적·환경적 요소가 어우러진 공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서소문 일대(서소문빌딩, 중앙빌딩, 동화빌딩)도 우선 추진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기존 3개 사업지구의 개방 공간은 개별 건축물만을 고려해 인접 대지 간 연계성이 부족하고, 녹지공간 사유화, 녹지·보행축 단절 등의 한계가 있었다. 시는 민·관 합동 통합기획을 통해 서소문 일대에 하나의 대규모 녹지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민간과 공공부지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가로숲길 조성하고 차로 폭을 축소해 보행자 중심의 도로를 조성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남산 소나무 숲을 확장하고 소규모 공간은 정원으로 조성한다. 지하수와 우수를 활용해 도심 한가운데 물길과 숲도 만든다. 건축물 필로티 하부는 외부와 내부의 중간 영역으로 날씨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로 꾸릴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서소문 일대에는 서울광장 크기(1만3205㎡)의 개방형녹지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올 상반기에는 ‘2030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부문)’을 수립한 바 있다. 개방형녹지 등 시 재정투입 없이 시민들이 자유롭게 머무르는 공간을 조성할 경우 용적률 및 높이 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하반기 중에는 △생태 △연속 △개방 △활력 △지속가능성 등 5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정비계획 수립 단계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까지 아우르는 ‘개방형녹지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도심 속에 공원녹지를 많이 만들수록 빗물이 유입되는 지형이 조성된다”며 “투수율이 높아져 지하로 흘러드는 빗물이 늘어나면서 폭우시엔 홍수 조절효과와 도시 열섬화도 완화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대규모 민간 개발 때 대지 내 건축물의 면적(건폐율 50% 이하)을 줄이고 저층부에 녹지와 개방형 공공공간을 조성(30% 이상)해 시민들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단순히 물리적 공간 확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향유 할 수 있는 활력 있는 공간이자 생태계 다양성을 증진하고 도시열섬현상, 우수 저류 등 집중호우 등에 대응하는 ‘미래지향적 공공공간’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남산, 청계천 등 주요 도심 생태·환경축을 고려해 민간과 공공부지, 인접 지역과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확보해 연속해서 녹지를 공급할 방침이다. 녹지공간의 확장성을 감안해 외부 공간 휴식 기능, 보행자 중심의 가로 이용 기능, 지역문화 활동 기능 등 다양한 공간 기능도 추구한다.
서울시는 도시 정비를 통해 경쟁력 있는 도심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인 만큼 건축물 저층부 핵심 점포와 보도가 연결되게 배치하고, 열린 공간 제공, 지하공간 연계, 지하철 출입구 연결 등을 통해 건축물의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높여 지역 활성화 등을 유도한바는 계획이다.그간의 도시 계획 과정은 일상 생활권에 도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데 미흡했다는 판단에서다.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한 도시계획시설사업(공원)과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사업 등도 한계가 있었다.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을 통해 법적으로 확보되는 공원의 면적은 약 5% 정도에 불과하다. 기존에 조성된 공개공지는 건물에 부속적인 형태로 조성돼 보행환경을 저해하고 활용도가 떨어지는 등 공공적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부족했다. 서울시는 전체 10곳에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적용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추진사업으로 진행 중인 다동공원은 현재 ‘무교·다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일부 사업이 차질을 빚으며 온전한 공원으로 조성되지 못하고 주차장, 파출소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서울시는 토지의 약 80% 소유권이 확보됐음에도 일부만 공원으로 이용되는 다동공원의 문제점을 조속히 해결하고, 이 일대를 서울의 새로운 비전을 상징하는 도심 표준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 선제적으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분 조성된 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계획시설사업을 통해 비교적 적은 공공재원을 투입하여 업무 및 상업시설 밀집 지역에 문화적·환경적 요소가 어우러진 공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서소문 일대(서소문빌딩, 중앙빌딩, 동화빌딩)도 우선 추진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기존 3개 사업지구의 개방 공간은 개별 건축물만을 고려해 인접 대지 간 연계성이 부족하고, 녹지공간 사유화, 녹지·보행축 단절 등의 한계가 있었다. 시는 민·관 합동 통합기획을 통해 서소문 일대에 하나의 대규모 녹지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민간과 공공부지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가로숲길 조성하고 차로 폭을 축소해 보행자 중심의 도로를 조성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남산 소나무 숲을 확장하고 소규모 공간은 정원으로 조성한다. 지하수와 우수를 활용해 도심 한가운데 물길과 숲도 만든다. 건축물 필로티 하부는 외부와 내부의 중간 영역으로 날씨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로 꾸릴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서소문 일대에는 서울광장 크기(1만3205㎡)의 개방형녹지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올 상반기에는 ‘2030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부문)’을 수립한 바 있다. 개방형녹지 등 시 재정투입 없이 시민들이 자유롭게 머무르는 공간을 조성할 경우 용적률 및 높이 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하반기 중에는 △생태 △연속 △개방 △활력 △지속가능성 등 5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정비계획 수립 단계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까지 아우르는 ‘개방형녹지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도심 속에 공원녹지를 많이 만들수록 빗물이 유입되는 지형이 조성된다”며 “투수율이 높아져 지하로 흘러드는 빗물이 늘어나면서 폭우시엔 홍수 조절효과와 도시 열섬화도 완화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