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안정되나 했더니"…역대급 물폭탄에 줄줄이 '비상'
입력
수정
태풍도 안 왔는데 5년래 최대 가축 폐사역대급 ‘물폭탄’을 쏟아낸 장마에 농축산물 피해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축구장 3만8000개 면적과 맞먹는 2만7000헥타르(ha)의 농지가 물에 잠겼고 60만 마리에 육박하는 가축이 폐사했다. 그간 농축산물 가격 안정세를 바탕으로 가공식품, 외식 물가 억제에 주력해온 정부의 ‘스텝’도 꼬이고 있다.
물가 스텝 꼬이는 정부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이날까지 농작물 침수 및 낙과 등으로 접수된 농지 피해 면적은 2만7094ha로 집계됐다. 축사나 비닐하우스 등 시설 피해는 19.3ha, 폐사한 가축의 수는 57만9000마리에 달했다. 가축 폐사는 닭 53만3000만마리, 오리 4만3000마리, 돼지 3000마리, 소 40마리로 가금류에 피해가 집중됐다.올해 피해는 최근 5년 새 가장 큰 풍수해 피해를 입었던 2020년엔 아직 못 미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20년 7~8월 중 장마와 3번의 태풍으로 농작물 15만8105ha, 시설 426ha가 피해를 입었고, 가축 53만9066마리가 폐사했다. 농작물 피해는 덜하지만 가축 피해는 이미 2020년 수준을 넘어섰다.
대규모 풍수해는 농축산물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2020년 여름 풍수해 여파로 그해 사과, 배 가격은 평년 대비 92%, 25% 상승했다. 배추와 무 등 주요 김장 채소 가격도 55%, 31%가 높아졌다. 상당한 크기의 농지가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당지 쌀 가격도 전년 대비 14% 뛰기도 했다.
현재까지 피해를 입은 농지는 국내 전체(153만ha)의 1.7% 수준이다. 현재까지 피해는 쌀(1만3600ha), 콩(4700ha)등에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장마가 끝나지 않았고, 태풍 등 후속 피해가 이어질 것을 감안하면 올해 농축산물 피해 규모는 ‘역대급’이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농식품부는 최근 가격이 오르고 있는 닭 등 가금류 피해가 큰 것에 주목하고 있다. 닭의 경우 사육 두수가 1억3000만마리에 달해 아직까지 피해 규모는 크지 않다. 하지만 닭은 2016~2017년 폭염으로 한 해에만 600만~700만마리가 폐사하기도 한 가축으로 사육 기간이 1~2개월에 불과해 일시 수급에 민감하다.
안정세를 찾아가던 물가도 비상이 걸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농축수산물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에 그쳐 전체 물가상승률(2.7%)하락을 이끌었다. 정부는 그간 농축수산물 물가는 안정세로 돌아섰다고 판단하고 닭 등 일부 상승 품목에 대해서만 할당관세 추진, 비축분 방출 등 ‘핀셋 정책’으로 대응해왔다.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가공식품(7.5%), 외식(6.3%)분야에 대해선 라면, 제분, 우유 등 관련 업계 기업들을 잇따라 소집해 가격 인하를 요청하는 등 가격 인상 '억제'에 초점을 맞춰 정책을 펼쳐왔다.식품의 원료인 농축수산물 물가가 하락한만큼 기업들도 떨어진 비용을 제품 가격에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 그간 정부가 펼쳐온 논리다. 하지만 이번 수해로 인한 물가 상승이 현실화할 경우 정부로선 기업에 가격 인하를 요구할 명분이 사라지게 된다.
농식품부는 20일 한훈 농식품부 차관 주재로 주요 농축산물 수급 상황 회의를 열고 수해에 따른 물가 영향을 점검할 계획이다. 수해로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분야에 대한 비축분 방출, 수입 확대 등 수급 안정 대책도 이날 나올 전망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