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록' 미술감독 "화면 너머로 냄새까지 전달하고 싶었죠"
입력
수정
'미생'·'나의 아저씨'·'시그널' 등 만든 이항 미술감독 인터뷰 "초반에 연출팀이랑 한 얘기가 '기존 드라마에서 작업해보지 못했던 극단까지 가보자'였어요. 화면 너머로 오감을 자극하고 싶었죠."
형광등 전등 몇 개가 빛을 밝히는 한 고시원 복도. 천장 쪽 벽에는 곰팡이가 피어있고, 그나마 비교적 최근 칠한 듯한 페인트도 습기를 이기지 못해 벗겨져 있다.
노후한 건물의 흔한 풍경처럼 보이지만,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형사록' 속 '노을 고시원'의 특이점은 바로 복도의 너비에 있다.
'형사록' 속 공간을 창조해낸 이항 미술감독은 최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연출과 상의 끝에 복도의 폭을 세 번에 걸쳐 조정했다"며 "노을 고시원의 복도는 평균적인 고시원 복도의 넓이에 비해 약 20cm 좁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두 명이 동시에 지나기에는 좁아서 어쩔 수 없이 서로 어깨를 부딪칠 수밖에 없는 '불편한 복도'를 의도적으로 만든 이유가 뭐였을까.
이 감독은 "사람을 스쳐 지나갈 때 술 냄새, 담배 냄새, 땀 냄새 등 후각적인 자극이 자연스럽게 연상 된다"며 "복도의 폭을 좁히고, 인물 간 접촉을 늘려서 공간 특유의 냄새를 강조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고시원이 크지는 않지만, 화면에 비쳤을 때 냄새, 습도, 소품의 질감 등이 상상되는 공간을 만드는 게 목표였어요. 특히 항구 도시 배경의 건물에서 날 법한 냄새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많이 집착했죠." 현실감을 살린 디테일이 숨어있는 또 다른 공간은 고시원 식당이다.
주인공인 김택록(이성민 분)이 러닝셔츠 바람으로 라면을 끓여 먹으러 자주 찾는 이 공간에는 공용 냉장고 옆에 벽을 튼 흔적이 남아있다. 이 감독은 "원래는 더 좁은 공간이었는데, 점점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테이블을 늘리기 위해 벽을 텄다는 설정을 입혔다"며 "사람들이 실제로 오랜 기간 동안 살아온 공간처럼 보이도록 하는 게 목표였다"고 설명했다.
"예쁜 공간을 만드는 것보다도 실제로 누군가 살 법한 공간이라고 설득되는 공간을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1992년 KBS 아트비전에 입사해 사극 '장희빈'(2002)으로 데뷔한 이 감독은 '하얀거탑'(2007), '미생'(2014), '시그널'(2016), '나의 아저씨'(2018), '60일 지정생존자'(2019), '아스달 연대기'(2019) 등 작품들 속 세계관을 구현해왔다.
사극부터 메디컬 드라마, 오피스물, 정치물, 판타지, 형사물까지. 장르를 가르지 않고 30년이 넘도록 새로운 도전을 거듭하며 달려올 수 있었던 원동력은 호기심이었다.
이 감독은 "미술 감독들은 늘 새로운 작품 속 새로운 공간을 만나게 되기 때문에 매번 새롭다"고 했다.
그는 "경력이 길더라도 새로 배워야 할 것들이 태산"이라며 "배우들이 맡은 배역이 돼서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아보듯이, 저도 캐릭터들이 살아온 공간을 상상하고 디자인하면서 호기심을 채운다"고 웃음을 지었다. 이력으로 짚을만한 대표작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이 감독은 "제 대표작은 현재 하는 작품이기 때문에 '형사록'이라고 답하겠다"고 말했다.
"과거에 어떤 작품을 만들었고, 몇 개 작품을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과거를 떠올리기 시작하면 끝도 없어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현재를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바빠요. (웃음)"
/연합뉴스
형광등 전등 몇 개가 빛을 밝히는 한 고시원 복도. 천장 쪽 벽에는 곰팡이가 피어있고, 그나마 비교적 최근 칠한 듯한 페인트도 습기를 이기지 못해 벗겨져 있다.
노후한 건물의 흔한 풍경처럼 보이지만,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형사록' 속 '노을 고시원'의 특이점은 바로 복도의 너비에 있다.
'형사록' 속 공간을 창조해낸 이항 미술감독은 최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연출과 상의 끝에 복도의 폭을 세 번에 걸쳐 조정했다"며 "노을 고시원의 복도는 평균적인 고시원 복도의 넓이에 비해 약 20cm 좁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두 명이 동시에 지나기에는 좁아서 어쩔 수 없이 서로 어깨를 부딪칠 수밖에 없는 '불편한 복도'를 의도적으로 만든 이유가 뭐였을까.
이 감독은 "사람을 스쳐 지나갈 때 술 냄새, 담배 냄새, 땀 냄새 등 후각적인 자극이 자연스럽게 연상 된다"며 "복도의 폭을 좁히고, 인물 간 접촉을 늘려서 공간 특유의 냄새를 강조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고시원이 크지는 않지만, 화면에 비쳤을 때 냄새, 습도, 소품의 질감 등이 상상되는 공간을 만드는 게 목표였어요. 특히 항구 도시 배경의 건물에서 날 법한 냄새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많이 집착했죠." 현실감을 살린 디테일이 숨어있는 또 다른 공간은 고시원 식당이다.
주인공인 김택록(이성민 분)이 러닝셔츠 바람으로 라면을 끓여 먹으러 자주 찾는 이 공간에는 공용 냉장고 옆에 벽을 튼 흔적이 남아있다. 이 감독은 "원래는 더 좁은 공간이었는데, 점점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테이블을 늘리기 위해 벽을 텄다는 설정을 입혔다"며 "사람들이 실제로 오랜 기간 동안 살아온 공간처럼 보이도록 하는 게 목표였다"고 설명했다.
"예쁜 공간을 만드는 것보다도 실제로 누군가 살 법한 공간이라고 설득되는 공간을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1992년 KBS 아트비전에 입사해 사극 '장희빈'(2002)으로 데뷔한 이 감독은 '하얀거탑'(2007), '미생'(2014), '시그널'(2016), '나의 아저씨'(2018), '60일 지정생존자'(2019), '아스달 연대기'(2019) 등 작품들 속 세계관을 구현해왔다.
사극부터 메디컬 드라마, 오피스물, 정치물, 판타지, 형사물까지. 장르를 가르지 않고 30년이 넘도록 새로운 도전을 거듭하며 달려올 수 있었던 원동력은 호기심이었다.
이 감독은 "미술 감독들은 늘 새로운 작품 속 새로운 공간을 만나게 되기 때문에 매번 새롭다"고 했다.
그는 "경력이 길더라도 새로 배워야 할 것들이 태산"이라며 "배우들이 맡은 배역이 돼서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아보듯이, 저도 캐릭터들이 살아온 공간을 상상하고 디자인하면서 호기심을 채운다"고 웃음을 지었다. 이력으로 짚을만한 대표작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이 감독은 "제 대표작은 현재 하는 작품이기 때문에 '형사록'이라고 답하겠다"고 말했다.
"과거에 어떤 작품을 만들었고, 몇 개 작품을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과거를 떠올리기 시작하면 끝도 없어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현재를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바빠요. (웃음)"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