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말리는 애플 사랑"…20대 아이폰 이용자가 갤럭시 2배
입력
수정
20대 갤럭시 점유율, 1년만에 44%→32% '뚝'국내 20대 스마트폰 사용자 10명 중 7명가량이 애플 아이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독 젊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아이폰 사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대에서 갤럭시와 아이폰의 격차가 1년 만에 눈에 띄게 벌어지면서 삼성전자의 고심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20대 아이폰과 격차 8%P→33%P…"4배로 늘어"
"어릴수록 아이폰 선호"…20대 사용률 1년새 13%포인트↑

국내 성인 10명 중 7명꼴이 갤럭시를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갤럭시와 아이폰은 각각 3%포인트씩 늘었으나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한 LG는 4%포인트 감소했다. 갤럭시와 아이폰은 모두 조사 이래 최고 사용률을 보였다.
연령별로 브랜드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20대 대부분은 아이폰을 선호하는 반면 30대 이상 모든 연령층은 갤럭시 사용률이 과반을 기록했다. 올해 18~29세의 아이폰 이용률은 65%로 지난해(52%)보다 무려 13%포인트나 상승했다. 이 기간 갤럭시 스마트폰 이용률은 32%로 종전 44%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LG는 3%에서 1%로 줄었다.한국갤럽은 "애플은 LG 사업 철수 후 변함없다가 올해 신장했는데, 이는 젊은이들을 겨냥한 프리미엄폰 전략과 상반기 애플페이 서비스 국내 도입 등 영향 때문"이라며 "애플은 디스플레이 크기를 늘린 2014년~2016년 사이에도 당시 2030 중심으로 저변을 넓힌 바 있다"고 말했다.
고조되는 위기감…'갤Z5' 시리즈가 구원투수

향후 아이폰 구매 의향을 밝힌 비율은 18~29세가 59%, 30대 역시 41%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어 40대 20%, 50대 7%, 60대 3%, 70대 이상 2%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아이폰 구매 의향이 낮아졌다.
반면 삼성 갤럭시의 경우 20대 구매 의향은 34%에 불과했다. 30대는 53%, 40대는 72%, 50대와 60대는 각각 84%, 80%로 구입 의향이 높았다. 현재 사용 스마트폰 브랜드를 재구입하겠다는 이들의 경우 갤럭시 87%, 아이폰 86%로 두 브랜드 모두 높은 고객 충성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갤럽은 "스마트폰 외에도 태블릿,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 각 브랜드별 생태계가 뿌리 깊게 자리 잡으면서 '락인 효과'가 극명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저연령대의 스마트폰 브랜드 선택이 미래 점유율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삼성전자는 어느 때보다 MZ세대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국내 첫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을 열고 소비자 접점 확대에 나섰다. 이곳에서 방문객들은 최신 갤럭시 제품을 체험해보고, 맞춤형 케이스 제작, 취업 특강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아울러 지난해 '갤럭시 팬파티'에 이어 올해 5월에는 '갤럭시 in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