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격(品格)'에 입 구(口) 자가 4개인 까닭 [고두현의 아침 시편]
입력
수정
지면S9
대나무를 그리면서묵죽(墨竹)의 대가인 정섭은 시서화(詩書畵)에 정통했습니다. 독보적 화풍에 뛰어난 시문을 자랑했지요. 그는 대나무를 아주 잘 그렸습니다. 그런데 대나무 천 가지에 만 개의 잎을 그리면서 벌·나비가 몰려들어 수선 떠는 것을 피하려고 꽃을 그리지 않았다고 하니, 그의 품격(品格)이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섭한 마디 다시 한 마디
천 가지에 만 개의 잎
내가 대나무를 그리면서 꽃을 피우지 않는 것은
벌과 나비 수선 떠는 것 면하기 위해서라네.
*정섭(鄭燮, 1693~1765): 청나라 서화가이자 문인.
그는 판교(板橋)라는 호를 즐겨 써서 정판교로도 잘 알려져 있지요. 어릴 때 집이 가난해서 늦게야 과거에 급제했고, 44세에 처음으로 지방 관리가 됐습니다. 10여 년의 관직 생활 중 그는 자기 이름보다 백성들의 배고픔을 헤아리는 데 더 힘썼습니다.어느 해 큰 재해가 들었는데, 모두가 기아에 허덕이다 뿔뿔이 흩어지고 자식까지 파는 참상을 눈 뜨고 볼 수가 없을 지경이었지요. 그는 관청의 창고를 열고 굶주린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나눠 줬습니다.
아전이 “관청 창고를 마음대로 열면 관리로서 죄명을 얻는다”며 만류해도 “상부에 일일이 보고하는 절차를 밟는다면 그동안 백성이 얼마나 굶어 죽을지 모른다. 죄가 주어진다면 나 혼자 받겠다”며 쌀을 풀어 1만여 명의 목숨을 구했습니다.
결국 사달이 났지요. 권력가에게 미움을 산 그는 관직에서 쫓겨났습니다. 그때 그가 남긴 유명한 말이 ‘난득호도(難得糊塗)’입니다. 총명하기도 멍청하기도 어렵지만, 총명함에서 멍청함으로 바뀌기란 더욱 어렵다는 뜻이지요. 그의 품격을 짐작하게 하는 명언입니다.품격을 뜻하는 ‘품(品)’에는 입 구(口) 자가 3개나 있지요. 평생 주고받는 말이 쌓여 그 사람의 됨됨이를 결정합니다. 많은 사람의 평판과도 통하지요. 그래서 사람의 품격을 인격(人格)이라고 합니다.
‘격(格)’은 나무(木)가 각각(各) 똑바로 자라도록 한다는 뜻이지요. 이 글자에도 입 구(口)가 있으니, 한 단어에 들어 있는 입 구(口)가 4개나 됩니다. 그만큼 말과 평판의 영향이 크다는 의미지요. 서양에서도 격(dignity)은 ‘여러 사람을 위한 명예로운 가치’를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 시인 소포클레스가 “품격과 지혜는 세상의 모든 부를 뛰어넘는다”고 한 것도 이 때문이지요.
꽃의 품격이 화품(花品)이라면, 그중에서 대꽃은 일품에 속합니다. 대나무는 60~100년을 살면서 평생에 단 한 번 꽃을 피우고는 장렬히 생을 마감하지요. 그림의 품격을 화품(畵品)이라고 할 때, 벌과 나비의 수선을 피하려고 꽃을 그리지 않은 정섭의 대나무 그림은 최상급이라 할 수 있습니다.품격을 제대로 갖춘 사람은 나이 들어서도 젊은 사람과 교감하며, 평생 쌓은 경륜을 공유할 줄 압니다. 이들의 덕목은 위기 상황에서 더욱 빛나지요.
저는 정섭의 시를 읽으면서 ‘한국의 슈바이처’ 장기려 박사와 ‘영등포의 슈바이처’로 불린 선우경식 원장의 삶을 생각했습니다.
장기려 박사의 인생은 그야말로 ‘성자의 삶’이었죠. 그의 삶은 청년 시절 “의사를 한 번도 보지 못하고 죽어 가는 사람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겠다”는 기도에서 출발했습니다. 나머지 인생은 이 서원을 지키기 위한 순간들의 집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평북 용천에서 태어난 그는 경성의전에 입학하기 전에 가슴 깊이 새긴 이 맹세를 영혼의 청진기 삼아 ‘인술의 꽃’을 피워 냈습니다. 그가 의사의 길을 걸으면서 겪은 시련과 깨달음의 과정들이 아릿합니다. 그는 “의학이란 눈 내리는 길을 걷는 것과 비슷했다”고 말했지요.
일제강점기에 간의 위 조각을 떼어 내는 설상절제(楔狀切除) 수술을 처음으로 해내고, 1959년 국내 최초로 간 대량 절제 수술에 성공했으며, 의료보험의 효시인 청십자 의료보험조합을 만든 사람. 가난한 이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겠다는 서원을 한 이후 죽을 때까지 병든 사람과 함께한 사람…. 그는 인생의 진정한 품격이 무엇인지를 가장 낮은 곳에서 보여 준 최고의 삶을 살다 갔지요.
‘영등포의 슈바이처’로 불린 선우경식 요셉의원 원장의 삶도 그러했습니다. 의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을 갔다 온 그는 종합병원 내과 과장 자리를 버리고 행려병자를 돌보는 낮은 자리로 내려왔지요. 위암 선고를 받았음에도 쓰러지기 직전까지 청진기와 진료 차트를 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러 다녔습니다.청빈하게 살면서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을 위해 평생 헌신한 이들의 삶은 일생에 딱 한 번 꽃을 피우는 대나무와 닮았지요. 이런 분들의 인격 덕분에 우리 사회의 품격이 높아지면 그게 곧 국격(國格)이 됩니다. 국격은 인격의 총합이므로 우리 모두의 품격을 높이는 게 중요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