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싹함을 곱씹게 만드는 미스터리 연극 ‘2시 22분’
입력
수정

이 작품은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2021년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초연한 연극이다. 당시 영국 가디언 등으로부터 "오싹하고 기발한 작품"이란 평가를 받으며 인기를 끌었다. 공연계 최고 권위 상 가운데 하나인 로렌스 올리비에에서 최우수 신작 연극, 여우주연상, 최우수 음향 디자인상 부문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국내엔 공연 제작사 신시컴퍼니가 들여왔다. 공연장에 들어가면 무대 왼쪽 위에 붉은색 전자시계가 걸려 있다. 시간은 이 작품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매일 새벽 2시 22분마다 울리는 정체모를 발자국 소리를 놓고 등장인물 4명이 이 시간이 되기를 기다리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여서다.

제니는 남편이 출장간 사이 아기방에서 들린 불길한 발걸음 소리에 대해 털어놓는다. 초자연적인 현상을 부정하고 과학을 신봉하는 샘은 제니가 느끼는 불안함과 무서움을 줄곧 무시해버린다. 어린 시절부터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사건들을 한두번씩 경험해 본 나머지 사람들과 샘은 '끝장토론'을 벌인다. 긴장과 유머가 적절하게 섞였다. 소름 끼치는 분위기의 음악과 날카로운 괴성 등이 들릴 땐 객석이 들썩일 정도로 오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중간중간 이들이 주고받는 위트 있는 대사는 긴장감을 완화시킨다. 극단이 짜놓은 장단에 맞춰 긴장감이 높아졌다가 풀어지기를 반복하다보니 어느새 1막이 끝났다.
작품 말미에 공개되는 반전은 이 작품의 최대 매력이다. 한번 간담이 서늘해지고 끝나는 단순한 공포·미스터리 연극이 아닌 연극 전체를 다시 돌아보도록 만든다. 어떤 반전인지는 직접 공연장에 가서 확인하시길. 친구 혹은 연인과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연극이다.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오는 9월 2일까지.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