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고려 철조석가여래좌상에 저지른 불경스런 일들
입력
수정
[arte] 이보름의 내가 사랑했던 모든 유물들현장에서 일하다 보면 의도치 않았지만 불경스러운 행동을 하게 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종교조각 같은 것, 예수상이나 마리아상, 불상을 천으로 구석구석 닦으며 머리나 얼굴을 만진다든지, 급한 마음에 “이 작품”이라는 말조차 길어 “얘”, “쟤”라고 부른다든지, 상태조사를 하거나 작품 촬영을 하거나 전시장 디스플레이를 하면서, 과장을 조금 보태어, 눕혔다가 세웠다가 뒤집었다가, 뱅글뱅글 돌리기도 하고, 머리나 손을 뺐다가 끼웠다가 하는 일들 말이다.
모든 종교 조각은 성물(聖物)이지만 한국 특성상 예수상, 마리아상은 거의 현대에 만들어진 것들이라 그렇게 마음이 쓰이지는 않는다. 문제는 천 년을 넘게 살아계신,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의 불교미술품을 대하게 될 때다. 너무 부담스럽다. 차라리 조선시대 부처님이 마음이 더 편할 정도다. 업계 어른들은 조사를 위해 이러한 성상(聖像)들을 만날 때, 인사를 드리시기도 한다. 합장(合掌) 같은 간단한 제스처나 “아이고 부처님”, “잘 부탁드립니다” 정도의 짤막한 말로 사전에 용서를 구하는 거다. 하지만 급한 성격 탓인지, 주위 시선에 멋쩍어서인지, 나는 늘 생각을 했다가도 잊어버리고, 그냥 건너뛰어버리곤 했다.어느 순간이 되면 그것마저 익숙해져 불편한 기분이 달랑 한 시간 만에도, 하루 만에도 사라지곤 한다. 그런데 지금 거의 한달 째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작품이 있다. 바로 오늘 이야기할 “철조석가여래좌상”이다. 요즘 감정으로는 나중에, 염라대왕 앞에서 심판 받을 때 이 잘못이 업경대에 비춰진다면, 아무 변명도 할 수 없을 것 같다.이 불상은 철로 주조하여 만든 것이다. 흔히 철불이라고 한다. 머리나 옷 표현 등의 양식으로 석굴암 본존불의 전통을 잇는 고려초기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편단우견(偏袒右肩) 착의법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수인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成道)하는 싯다르타를 상징해, 이 부처가 석가모니임을 알려준다. 당당하면서도 장대한 어깨와 신체에 비하여 높고 넓은 무릎으로 안정감 있는 모습이다.
철불은 철이 가지는 특유의 색감 때문에 현대인의 시선에서는 금동불보다 세련되고 차분하게 느껴진다. 특히 이 불상은 턱을 바짝 당긴 채 목을 꼿꼿이 세우고, 눈을 감고 있는 듯, 시선이 아래를 향하고 있어 명상에 잠긴 듯한 조용한 인상도 준다. 이런 형태의 불상들은 대체로 높은 대좌나 불단 위에 봉안되므로, 신도들이 불상을 위로 우러러보게 되는 것을 고려한 시선처리인 듯 하다. 눈 코 입의 표현은 균형이 잘 맞는 편이고, 젊은 청년의 인상을 준다.
그러다 몇 년 전부터 내가 관리하는 수장고에 잠시 머무시게 된 것인데, 나열하고 보니 그간의 일에 비하면 내 잘못은 잘못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천년 전, 이 부처님이 원래 계시던 곳은 어디인지 몰라도, 여기 계시는 동안은 요즘처럼 이렇게 비가 많이 오는 여름에도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최대한 쾌적하게 해드릴 거다. 그러다 언젠가 이 부처님을 모실 꽃대좌가 마련되면 또 사람을 시켜 이마나 어깨를, 엉덩이를 밀게 하는 불경을 저지를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그 때, 다 끝내고 석가모니 부처님을 위로 우러러보며 눈을 맞추는 순간, 다 괜찮다고 용서해주시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