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600만대 생산 가능"…'광물 대국' 급부상한 나라
입력
수정
"몽골은 지금 변신 중"
21세기 자원전쟁 속 '광물 대국' 부상하나
'개혁주의' 몽골 총리, 개혁 통해 투명성 높여
광물 자원 개발에 외국인 투자 봇물
"중국, 러시아 의존도 낮추려면 필수"
전 세계의 친환경 전환 흐름 속에서 '광물 대국' 몽골의 입지가 급부상하고 있다. 몽골은 구리, 우라늄 등 녹색 전환에 필수적인 자원 매장량이 풍부하다.
몽골 정부는 광물 개발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에서 경제 성장의 기회를 찾고 있다. 이를 위해 부패 척결 등 각종 개혁을 통해 투명성 개선에 나서고 있다.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의 북동부 지역에 위치해 있는 오유톨고이 광산은 최근 개발이 한창이다. 10년 전 호주 광산기업 리오 틴토가 구리를 확보하기 위해 몽골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인 50억달러(약 6조원) 가량을 들여 투자한 곳이다. 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구리 매장지인 오유톨고이 광산에서는 2030년이면 매년 약 50만t의 구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기자동차 600만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현지시간) "롭상남스라이 어용에르덴 몽골 총리는 서방 정부와 기업들이 친환경 전환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국의 풍부한 광물 자원을 적극 활용해주기를 원하고 있다"며 "오유톨고이 광산은 몽골이 이를 통해 번영의 길로 나아가는 상징성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해당 프로젝트에 몽골 정부도 34%의 지분을 갖고 있다. 향후 구리 채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몽골 정부의 재정상황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는 의미다.
어용에르덴 총리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몽골 투자를)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말했다. 몽골 정부는 자원 호황을 토대로 지난해 150억달러였던 국내총생산(GDP)이 2030년까지 약 500억달러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 몽골의 빈곤율도 현 수준보다 절반 이상 낮춰 15%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과도한 경제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절실함도 몽골 정부가 서방의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로 꼽힌다. 중국은 몽골의 구리 및 석탄 등 광물 자원 수출량의 84%를 사들이고 있다. 몽골의 전체 수입액에서는 러시아산 석유제품 등이 30%를 차지한다. 어용에르덴 총리는 "몽골은 지리적, 지정학적으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부패 척결 등 해결 과제는 '산적'
하지만 몽골 정부가 외국인 투자자들을 사로잡기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숙제는 산더미다.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일당 독재 사회주의가 무너진 몽골은 민주주의와 자유시장주의 체제가 도입된지 30여년밖에 되지 않았다. 미해결된 부정부패 이슈와 행정 불투명성 등은 서방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게 만드는 요인들이다.몽골은 작년 말에도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겪었다. 국영 석탄기업과 정계 사이의 부패 연결고리가 드러나면서다. 올해 초 새로 부임한 리처드 부안강 주몽골미국대사는 이에 관해 "변덕스럽기 그지없고 투명하지 않으며 예측할 수 없고 부패하기까지 한 법과 규정의 적용은 몽골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은 곳으로 만들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이에 몽골 정부는 헌법 및 사법 개혁에 나서고 있다. 불법청탁 단속, 자원 산업 관련 정책 및 규정의 대대적인 정비도 진행 중이다. 어용에르덴 총리는 "우리의 주요 목표는 투명성을 개선하는 것"이라며 "선결 조건이 명확히 해결되어야 해외 투자를 협력할 국가와 당당히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