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애플까지 AI 전쟁에 가세했는데 산업 옥죌 규제부터 찾는 한국
입력
수정
지면A35
인공지능(AI) 산업을 둘러싸고 일본은 대기업에도 파격 지원하는데 한국은 대기업은 물론 스타트업까지 옥죄는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글로벌 AI 패권 전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우리만 지나친 규제로 혁신산업 성장의 의지를 꺾어 경쟁에서 도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최근 소프트뱅크가 추진하는 생성형 AI 사업에 53억엔(약 487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소프트뱅크의 생성형 AI 사업을 적극 지원해 일본 AI 생태계를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반면 국내에서는 정치권은 물론 정부조차 AI 규제에 나서기 시작했다. 국회에 발의된 AI 관련 법안을 보면 지원책은 없고 규제책 일색이다.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대표적이다. 이 법안은 AI 기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서비스 내용을 신고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규제 범위가 너무 포괄적인 데다 영업비밀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방통위와 업계 모두 반대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정보기술(IT) 기반 플랫폼 기업의 불공정 거래 행위를 막기 위해 기업에 각종 의무를 부과하는 법안을 재추진 중이다.이들 법안이 국내 기업에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역차별이 발생할 소지도 있다. 국내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과 출시가 늦어지는 가운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 해외 기업들이 국내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도 자체 AI 챗봇 개발에 나섰다는 소식에 연일 주가가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엔 유니콘 AI 하나 없는 게 뼈 아픈 현실이다.
세계 AI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은 AI 규제에 신중하다. 중국과 AI 패권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강도 높은 규제가 국익에 반하는 정책이 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글로벌 AI 패권 전장에서 한국은 후발주자다.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속에 도래한 AI 신산업 혁명을 기회로 보고 적극 육성해도 모자랄 판에 규제와 간섭으로 오히려 성장의 싹마저 짓밟아서야 되겠는가.
일본 경제산업성은 최근 소프트뱅크가 추진하는 생성형 AI 사업에 53억엔(약 487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소프트뱅크의 생성형 AI 사업을 적극 지원해 일본 AI 생태계를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반면 국내에서는 정치권은 물론 정부조차 AI 규제에 나서기 시작했다. 국회에 발의된 AI 관련 법안을 보면 지원책은 없고 규제책 일색이다.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대표적이다. 이 법안은 AI 기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서비스 내용을 신고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규제 범위가 너무 포괄적인 데다 영업비밀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방통위와 업계 모두 반대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정보기술(IT) 기반 플랫폼 기업의 불공정 거래 행위를 막기 위해 기업에 각종 의무를 부과하는 법안을 재추진 중이다.이들 법안이 국내 기업에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역차별이 발생할 소지도 있다. 국내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과 출시가 늦어지는 가운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 해외 기업들이 국내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도 자체 AI 챗봇 개발에 나섰다는 소식에 연일 주가가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엔 유니콘 AI 하나 없는 게 뼈 아픈 현실이다.
세계 AI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은 AI 규제에 신중하다. 중국과 AI 패권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강도 높은 규제가 국익에 반하는 정책이 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글로벌 AI 패권 전장에서 한국은 후발주자다.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속에 도래한 AI 신산업 혁명을 기회로 보고 적극 육성해도 모자랄 판에 규제와 간섭으로 오히려 성장의 싹마저 짓밟아서야 되겠는가.